이복현 원장 "소비자 접근성은 당연한 책무… 금융권이 충분히 고민했나" 지적
연내 TF 구성해 점포 폐쇄 대체수단 활성화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국내은행 점포 수 추이, 최근 5년간 4대 은행 점포 폐쇄율/그래픽=이지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금융당국이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은행의 점포 수 축소 움직임에 제동을 걸었다. 점포 폐쇄가 중장기적으론 은행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연말까지 은행권과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점포 폐쇄 추세에 대응할 계획이다.
금융감독원은 2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금융접근성 제고를 위한 금융권 공감의 장'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복현 금감원장과 6개 금융협회장·소비자·장애인 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금감원은 최근 금융 접근성 주요 이슈로 은행의 점포 폐쇄 추세를 짚었다. 이 원장은 축사에서 "소비자 금융 서비스 접근 권리를 보장하는 건 금융산업이 당연히 수행해야 할 책무"라며 "금융업계가 이러한 책무를 충분히 고민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전국의 은행 점포 수는 5690개다. 2019년에는 6738개였는데 5년간 1189개 줄었다. 올해 폐쇄된 점포의 72.9%는 1㎞ 이내 도보생활권에 위치했다. 지난 5년간 4대 시중은행(KB국민·우리·신한·하나) 폐쇄율이 전체의 69%를 차지했다.
특히 4대 시중은행은 56개 지역 시·군·구 금고를 운영 중이지만 지난 5년간 해당 지역의 점포 412개와 ATM 5710개를 폐쇄했다. 금감원이 은행을 두고 '사회적 책임이 미흡했다'고 지적하는 이유다. 그러면서 금감원은 "단기 비용 절감 우선의 점포 폐쇄 전략은 고객 이탈 등으로 은행의 중장기 수익 기반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은행은 점포 폐쇄 이후 대체수단 마련에도 소홀했다. 대부분은 단순 입출금 기능을 제공하는 ATM 설치로 폐쇄된 점포를 대체하려 했다. 공동·이동 점포나 디지털 점포 등 대체수단을 늘리는 데는 소극적이었다. 이에 금감원은 지난해 4월부터 ATM을 점포 폐쇄 대체수단으로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금감원은 "비용이 아닌 수익 관점에서 점포 역할을 재조명할 장기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며 미국의 'JP모건체이스 은행' 사례를 들었다. JP모건체이스는 영업점포와 디지털화가 상호보완적 관계라는 인식에서 경쟁 은행 대비 점포 수 축소를 최소화하고 오히려 신규 점포를 적극적으로 확대하는 전략을 펼쳤다. 지난 2월에는 2027년까지 500개 영업점포를 신설해 대고객 영업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금감원은 연내 은행권과 '대체수단 활성화 TF'를 구성하고 점포 폐쇄 추세에 대응할 계획이다. 점포 폐쇄 대체수단 설치를 협의하는 절차나 비용 발생 시 분담 원칙 등을 은행권 가이드라인 형태로 마련한다. 또 은행권이 AI(인공지능) 점포 등을 운영할 수 있게 규제 샌드박스 등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행사에선 '고령층 디지털 금융소외 방지'와 '장애인 금융거래 편의성 제고' 방안도 논의됐다. 당국과 업계는 고령 소비자를 위해 현재 은행 등 일부 업권에만 적용된 '모바일 금융앱 간편모드'를 내년에 보험과 증권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고령 소비자에게 AI가 아닌 일반상담원을 우선 연결하도록 하는 제도 개선은 지난 9월부터 시행 중이다.
금감원은 금융사의 장애인 응대 매뉴얼을 일괄 점검하기로 했다. 장애 유형별로 응대 매뉴얼을 상세히 마련할 계획이다. 또 시각·청각·발달장애 등 유형별로 금융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이창섭 기자 thrivingfire21@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