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4 (수)

이슈 물가와 GDP

물가, 반년 만에 1% 중반대로 급락…‘장기 저성장’ 그림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지난달 서울시내 한 주유소.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1.5% 오르는 데 그쳤다. 석달 연속 1%대 상승률이다. 석유류 가격이 떨어지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내렸으나, 전반적인 내수 부진도 물가 상승률 둔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불과 몇달 전만 해도 고물가가 근심이었으나 이젠 ‘저물가 위험’이 성큼 다가온 모양새다. 낮은 물가는 ‘장기 저성장’의 예고편일 수 있어서다. 정부도 조만간 내수·소비 진작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에 견줘 1.5% 상승했다. 두달 연속 1% 중반대의 상승률을 보인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초만 해도 3%대를 웃돌았으나 반년 만에 1% 중반대로 급락하고 있다. 물가 하락은 주로 석유류 가격이 이끌고 있다. 석유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3% 가격이 하락하며 전체 소비자물가를 0.22%포인트 끌어내렸다.



하지만 이런 공급 요인과 더불어 수요 요인도 물가 상승률 둔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당장 국제유가나 계절 변화 등에 영향을 크게 받는 품목을 빼고 살피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기준) 상승률도 석달 연속(소수 둘째자리 기준) 2%를 밑돌고 있다. 지난달 근원물가 상승률은 1.86%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도 1%대 관측이 우세한 가운데, 저물가 현상까지 고착화되면 장기 저성장 국면에 진입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내수 부진 여파가 물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기준금리 인하가 소비에 영향을 미치려고 해도 약 2~3분기 시차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내수 부진에서 비롯된 저물가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물론 현 단계에서 저물가·저성장 고착화를 단언하기는 이르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은 최근 낸 보고서에서 “향후 근원물가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내수민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1%대의 낮은 수준을 나타내겠지만, 가계 소비 여력 개선 등으로 소비가 회복되면서 시차를 두고 완만히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경임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도 “고물가 추세가 둔화하는 과정이며, 서비스 물가는 여전히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다급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건 저물가가 고착화되는 걸 막기 위해서다. 전날 윤석열 대통령이 대통령실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전향적인 내수·소비 진작 대책을 강구하라”고 비서진에 지시한 데 이어 이날엔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내수·소비 진작을 위한 다양한 방식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현재 정부에선 신용·체크카드 사용액에 세제 혜택을 추가로 얹어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소득공제율 조정은 법 개정 사항이라 내년 초 연말정산 때 적용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