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비상계엄령 선포 이후 주택가 인근 편의점에서 생필품 사재기가 벌어졌다. 사진은 서울의 한 편의점에서 컵라면을 고르는 소비자의 모습.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밤 비상계엄령 선포 이후 일부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에서 생필품 사재기나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문 닫은 대형 마트 대신 편의점과 이커머스(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몰렸다.
4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A편의점은 지난 3일 오후 11시~자정까지 1시간 동안 주택가 인근 4000개 점포에서 생필품 매출이 1주일 전 같은 시간보다 급증했다. 매출이 늘어난 품목은 통조림(337.3%)·봉지라면(253.8%)·생수(141%)·즉석밥(128.6%)·건전지(40.6%)·안전상비의약품(39.5%) 등이었다. B편의점은 같은 시간대 식료품 매출이 전일 대비 늘었다. 통조림(75.9%)·햇반(38.2%)·생수(37.4%)·라면(28.1%)·시리얼(14.1%) 등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이 주로 팔렸다. C편의점은 같은 시간대에 즉석밥 매출이 전날 대비 70% 올랐다. 이외에 라면(50%)·생수(40%)·전기용품(20%) 매출도 늘었다고 전했다.
소비자들은 영업 시간이 지난 대형마트나 기업형수퍼마켓이 아니라 집 근처 편의점을 찾았다. 편의점 업계는 지난 3일 오후 11시~자정 사이 생필품 매출이 늘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생필품 사재기는 주거지 인근 편의점에 집중됐다. 영업시간이 지난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 대신 집 근처 편의점을 찾은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강서구의 한 오피스텔 상가 1층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김모(42)씨는“원래 심야 시간대엔 주류와 안줏거리가 주로 팔리는데, 어젠 생수를 사러 오는 오피스텔 주민들이 있었다”라며 “주민으로 보이는 손님들이 잠옷 차림에 겉옷만 입고 와서는 2리터(L)짜리 생수 6개 묶음을 사 갔다”라고 말했다. 한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번화가보단 주택가 인근 편의점에서 사재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라며 “특히 50~60대 연령대 고객이 물건을 많이 사간 걸로 파악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에서도 생필품 구매가 급증했다. 홈플러스 온라인몰에선 4일 오전 1시 기준으로 쌀(2위)·라면(3위)·생수(6위) 등이 인기 검색어 순위에 올랐다. 4일 0시에 인기 검색어 10위였던 생수는 1시간 만에 6위로 뛰어올랐다. 의류와 가전제품이 많이 팔리는 11번가에서도 오전 1시경 인기 검색어에 라면이 올랐다. 특히 자정까지 다음 날 새벽 배송 주문을 받는 쿠팡에 생필품 주문이 몰린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지난 밤 계엄 선포 이후 생수 등 일부 생필품 주문이 늘었다”라며 “새벽부터 현재까지 배송은 차질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 시민이 지난 3일 밤 편의점에서 컵라면을 대량 결제한 모습.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커뮤니티엔 급하게 생필품을 사들였단 글이 여러 건 올라왔다. 한 누리꾼은 지역 맘 카페에 사재기 후기를 올리며 “뉴스를 보자마자 분유랑 아기 기저귀는 무조건 쟁여야겠다 싶었다”라며 “쿠팡으로 생수·세제·휴지 등 총 14만원 어치를 주문했다”라고 했다. 서울 성동구에 산다는 또 다른 누리꾼은 “장갑차가 돌아다니는 사진을 보고 마음이 불안해져 동네 마트에 가서 생필품을 사 왔다”라며 “자정인데도 사재기하러 온 사람들로 계산대에 줄이 길게 늘어섰다”라고 말했다.
황진주 가톨릭대·인하대 소비자학과 겸임교수는 “편의점은 소용량 상품을 팔기 때문에 사재기에 적합하지 않은 채널인데도 사재기 현상이 나타났단 건 그만큼 불안감을 느낀 소비자가 많다는 것을 뜻한다”라며 “당장 편의점에서 생필품을 사지 않으면 앞으로는 구할 기회가 없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음 날 마트가 문을 열 때까지 기다릴 수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오삼권 기자 oh.samgwon@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