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디어(Dear) 한강, 스웨덴 한림원을 대표해 따뜻한 축하를 전할 수 있어 영광입니다. 국왕 폐하로부터 상을 받기 위해 나와 주시길 바랍니다."
10일(현지시간) 오후 열린 '2024 노벨상 시상식'에서 문학상 시상자로 나선 스웨덴 한림원 종신위원 엘렌 맛손은 한강의 수상 차례가 되자 영어로 이렇게 말했다.
맛손은 당초 한림원 연설문을 스웨덴어로 먼저 낭독한 뒤 마지막 두 문장을 한국어로 호명할 예정이었으나 최종 준비 단계에서 영어로 바뀌었다고 한다. 어눌한 한국어 발음이 자칫 권위 있는 시상식에서 우스꽝스럽게 비춰질 수 있어 계획을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 번역 의뢰를 받았던 박옥경 번역가는 연합뉴스에 "시상식을 며칠 앞두고 (맛손 측이) 도저히 어려울 것 같아 결국 영어로 하기로 했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에는 한국어로 하겠다며 마지막 한 줄을 번역해달라고 부탁해왔다"며 "번역 문장을 보냈더니 '장담은 아직 못하겠으나 한 줄 더 번역해 달라'고 추가 요청이 왔었다"고 전했다.
이에 박 번역가와 스웨덴 국적의 남편 안데르스 칼손 영국 런던대 동양아프리카대(SOAS) 한국학 교수가 직접 한국어로 된 문장을 각각 녹음해 전달했다. 부부는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와 『흰』을 스웨덴어로 공동 번역했다.
박 번역가는 "한림원이 연설문은 전통대로 스웨덴어로 낭독하지만 마지막 호명 때는 수상자 출신국 모국어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간은 대부분 서양 언어권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맛손이 한국어를) 마지막까지 연습했지만 워낙 생소해 그런 것 같다"고 아쉬움을 표했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비록 '한국어' 호명은 무산됐지만 한강은 이날 생중계된 세계 최고 권위의 노벨상 시상식 무대에서 아시아 여성 최초로 문학상을 받으며 전 세계에 한국 문학의 위상을 각인시켰다.
한강은 역대 121번째이자 여성으로는 18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다. 아시아인이 노벨문학상을 받는 것은 2012년 중국 소설가 모옌 이후 12년 만이다. 노벨상 시상식이 콘서트홀에서 열리기 시작한 1926년 이래 한국인이 이곳에 깔린 '블루카펫'을 밟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