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AI 모델 제공…기능테스트 환경 구축
AI 학습 위한 금융권 특화 데이터 구축
'금융분야 AI 가이드라인' 개정 추진
내년부터 금융사들도 오픈소스 AI(인공지능) 모델과 데이터를 내부망에 바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용 AI와 오픈소스 AI를 전략적으로 활용, 전문화되고 특화된 AI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이와 함께 금융분야 AI 학습을 위한 특화 데이터를 구축하고 금융분야 AI 가이드라인 개정도 추진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12일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권 AI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에는 지난 8월 '금융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 발표에 이어 금융사 내부망에 직접 설치하는 오픈소스 AI 활용 지원을 포함한 '금융권 생성형 AI 활용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상용·오픈소스 AI '투 트랙' 전략
GPT 등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생성형 AI 등장 후 금융권에서도 AI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생성형 AI는 텍스트와 이미지, 미디어 등 기존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구축하는데 중점을 둔 AI 유형이다.
생성형 AI는 인터넷망에서 제공되는 상용 AI와 회사 내부 시스템에 설치하는 오픈소스 AI로 구분된다. 국내 금융사들은 AI 활용 목적과 비용 효율성 등을 고려해 두 가지 모두 사용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다.
가령 상용 AI는 금융사 통제권 밖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돼 개인신용정보를 활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고객 상담이나 투자정보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오픈소스 AI는 작은 컴퓨팅 자원에서도 동작이 가능하고 금융사 내부망에 직접 설치해 보안성과 비용 효율성에 장점이 있다. 내부 정보 등을 활용하는 내부규정 챗봇이나 홍보물 등 콘텐츠 제작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오픈소스 AI는 외부망에서 내부망으로 바로 설치하기 어렵고 수많은 모델이 난립해 성능과 안전성 검증에 한계가 있다.
금융권 AI 플랫폼 구축 계획도/자료=금융위원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금융당국은 금융사들이 상용 AI와 오픈소스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이원(투 트랙) 활용 체계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상용 AI는 인터넷 환경에서 제공되는 만큼 지난 8월 발표한 망분리 개선 로드맵에 따라 망분리 대한 규제 샌드박스를 허용하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픈소스 AI 서비스 개발과 활용을 위해선 통합 지원하는 '금융권 AI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플랫폼에선 전문가 그룹이 금융 분야에 적합한 성능과 안전성을 지닌 오픈소스 AI 모델과 데이터 등을 선별해 제공한다.
또 금융사들이 다양한 오픈소스 AI 모델과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활용해 최적의 조합을 찾고 혁신적인 AI 서비스 아이디어를 실험할 수 있는 기능테스트(PoC) 환경, AI 모델과 데이터 등을 금융사 내부망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프라도 구축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권 AI 이원 활용 체계가 마련돼 금융사들이 상용 AI와 오픈소스 AI를 전략적으로 선택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전문화되고 특화된 AI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금융 특화 데이터 구축…가이드라인도 개정
금융당국은 금융권 특화 데이터도 구축하기로 했다. 현재 주요 오픈소스 AI 모델들은 영미권 언어와 일반적인 데이터를 학습해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고, 금융 분야에 대해선 전문성이 부족한 답변을 제공하는 등 한계가 있다.
이에 금융 전문성을 갖춘 AI 서비스를 개발하려면 금융 특화 한글 빅데이터 지원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이상거래 탐지나 신용평가, 금융보안 등 공익 목적 AI 데이터 활용을 위한 주기적인 공급 체계가 없다는 지적도 있었다.
금융당국은 업권별 협회를 비롯해 금융연수원과 보험연수원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생성형 AI 모델을 학습·검증하는데 필요한 '금융권 특화 한글 말뭉치'를 구축하고 플랫폼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생성형 AI의 정확한 답변을 유도할 수 있는 검색 증강 생성용 데이터, AI 성능과 윤리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지원 데이터 수요가 커 우선 확보되는 공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속히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사기방지(금융결제원)와 신용평가(신용정보원), 금융보안(금융보안원) 데이터 등 유관기관에서 제공하는 공익 목적 데이터 제공 채널을 플랫폼으로 일원화해 금융사들이 특성화 AI 개발을 위한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은 금융권 AI 개발·활용 주요 원칙도 마련했다. 금융 분야 AI 거버넌스와 개발·활용에 관한 명확한 원칙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안내서로 제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금융사들이 실제 업무에 AI를 활용할 때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란 기대다.
금융위는 이번 방안 추진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금융권 AI 플랫폼은 내년 상반기 구축을 목표로 진행하고, 특화 데이터 구축은 내년 1분기 지원을 시작해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AI 가이드라인 개정도 내년 상반기 중 마무리할 예정이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AI가 단순한 기술을 넘어 국가와 산업 결쟁력을 좌우하는 수단이 된 산업 패러다임 대전환기에서 정부와 유관기관, 기업과 학계 등 다양한 플레이어 간 협력이 중요하다"며 "지원방안을 신속히 추진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가 필요하며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