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14개 관계부처·12개 지자체 공동 추진
'2023~2032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기본계획' 이행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이번 기본계획은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관련 최상위 법정 계획으로, 향후 10년간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추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내년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을 본격화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혁신 생태계조성 등 3대 전략에 중앙부처 및 지자체와 민간 합동으로 2조7496억원(변동 가능)을 투자한다. 전년 대비 3.9% 증가한 규모다.
먼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차세대 태양전지와 초대형 부유식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핵심 기술과, 혁신형 소형 모듈원자로 등 차세대 원자력시스템 및 안정적인 원전 운전을 위한 기술 지원을 한다. 비재생에너지, 차세대 이차전지, 수소 생산 및 저장·운송기술, 파력발전 등 다양한 범위의 무탄소에너지원 기술 개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바이오매스 기반 연료 및 제품 개발을 통한 저탄소화 전환, 폐자원의 자원화 등 탄소배출 연·원료 대체 기술 개발을 지속 지원한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고도화 및 대규모 CO2 포집 기술 실증, 산업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비이산화탄소(Non-CO2) 저감·처리, 자연계 흡수원의 탄소흡수·저장 강화 등 온실가스 저장·흡수·활용 기술개발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대응을 위한 차세대 전력망·에너지망의 전력 저장 및 송배전 관련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기후변화 적응 분야에서는 생태계·산림 등 기후 영향 취약성을 평가해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극한 기후 변화 및 재해 대비 농업 생산기반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핵심기술 개발로 안정적인 식량생산을 지원한다.
또한 온실가스 공간정보지도 구축과 국가기후예측시스템 개발 등 과학기술 기반의 기후변화 감시·예측 기술을 고도화하고, 물순환·산림·연안의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재해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을 지속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배터리 안정성 평가, 미래원자력 기술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기후기술 산업 활성화를 지원한다. 지역별 탄소중립체험관 운영 등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국민 공감대 형성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국내·외 기후기술 기관 간 공동연구를 통한 글로벌 연구·개발(R&D) 인력을 양성하고, 기후기술 산업현장 수요 맞춤형 인력 양성도 지속 추진해 기후기술 R&D 역량 제고와 산업 활성화를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범정부적인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이라며 “관련 중앙부처·지자체와 함께 구성한 기후기술 범정부 협의체 운영을 통해서 주기적으로 정책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성과를 점검함으로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탄소중립사회 구현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