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와이파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 국정과제인 5세대(5G) 이동통신 지하철 와이파이 사업이 속도를 내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의 공공용 주파수 지정을 통해 서비스 활로를 열어주겠다는 방침이지만 이동통신 3사가 인공지능(AI) 등 신사업에 집중하며 추가 투자 여력이 약화됐다. 이에 정부는 전파사용료 감면 등 사업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과기정통부와 이통 3사는 최근 5G 지하철 와이파이 사업 재개를 위한 실무 논의를 진행했다. 과기정통부는 28㎓ 대역을 지하철에 한해 주파수 지정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통 3사는 망 구축 의무를 지키지 않아 지난해 28㎓ 대역 주파수 할당이 취소됐다. 이에 따라 서울 지하철 일부 구간에서 진행했던 28㎓ 기반 10배 빠른 지하철 와이파이 성능개선 시범사업도 중단됐다. 정부 국정과제였던 만큼 5G 특화망(이음5G)을 통해 서비스 재개를 꾀했지만 신청기업이 전무했다.
5G 28㎓ 지하철 와이파이 서비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과기정통부는 주파수 지정으로 활로를 꾀했다. 주파수 공급 방식은 크게 할당과 지정으로 나뉜다. 이미 28㎓ 주파수를 회수해 재할당은 불가한 상황에서 공공용 주파수로 지정하면 현재 구축해놓은 장비를 활용해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이통 3사는 이미 지하철 선로에 약 1500개의 28㎓ 무선국 구축과 객차 내 무선접속장치(AP) 설치까지 마친 상태다. 할당대가 부담 없이 전파사용료만 납부하면 된다.
특히 전파사용료의 경우 가입자수를 기준으로 산정하는 주파수 할당과 달리 주파수 지정은 무선국 장비수를 기준으로 산정하는 만큼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더 크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전파법 시행령상 전파사용료 감면 규정을 준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전파정책연구반을 통해 지하철 28㎓ 주파수 지정과 전파사용료 감면이 법률 취지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며 “이달 내 구체적 정책 발표를 목표로 준비 중에 있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