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3 (월)

“中, 일본 수산물 수입 내년 상반기 재개 검토”... 주변국 ‘뒷북’ 챙기기 나선 중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지난해 8월 중국 베이징의 한 식당에 일본산 수산물 판매 중단을 알리는 안내판이 놓여 있다./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전면 중단했던 일본산(産) 수산물의 수입을 내년 상반기에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3일 중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해 8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항의하는 뜻으로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중단했고, 지난 9월 양국 합의로 중국이 수산물 수입의 점진적 재개를 약속했다. 중국이 미국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미국의 우방들과 관계 개선에 나서면서 ‘전랑(늑대 전사) 외교’ 전략은 잠시 접어두고 해묵은 갈등 해소에 집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문은 중국의 이인자인 리창 총리가 내년 5∼6월 일본에서 개최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현지를 방문해 수입 재개 방침을 밝히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전했다. 왕이 외교부장(장관)이 내년 초 일본을 방문해 조기에 수입 재개를 선언할 가능성도 있다. 일본 정부는 다음 달 왕이를 초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올해 하반기부터 수산물 수입 중단을 해제하기 위한 수순을 밟아왔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9월 20일 “양국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문제에 관해 여러 차례 협상했고, 향후 수산물 수입의 점진적 재개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지난달에는 시진핑 국가주석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페루 리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정상회담을 가졌다.

중국이 일본과의 갈등 봉합에 속도를 내는 것은 내년 1월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에 대비하는 성격이 강하다. 미국의 우방들과 관계를 개선해 ‘대중(對中) 견제’ 전선을 느슨하게 하고, 이해관계가 비슷한 국가들과 연대해 대미 협상력을 높이는 전략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중국은 보호무역을 내세운 트럼프를 상대로 발언권을 키우려면 수출이 중요한 일본 등과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트럼프가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하며 동맹국에 부담을 가하는 틈도 노리고 있다”고 했다. 일본의 수산물 수출액(약 3조5000억원·2022년) 가운데 중국(홍콩 포함)이 차지하는 비율은 42%로 압도적이다.

중국은 미국의 다른 우방들에게도 화해의 손을 내밀고 있다. 지난 3일엔 호주를 상대로 마지막 남은 무역 제재였던 ‘호주산 쇠고기 수입 금지’ 조치를 4년여 만에 전면 해제했다. 지난 10월 리창이 예고했던 호주산 랍스터 수입 전면 재개 조치도 20일부터 이행됐다. 2020년부터 4년 넘게 끌어온 중국-호주의 무역 분쟁이 막을 내린 것이다.

지난 10월에는 시진핑 주석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5년 만에 양자 정상회담을 갖고 2020년 국경 충돌로 냉각된 관계를 정상화하기로 합의했다. 회담 직전에는 양국이 관계 회복의 걸림돌이었던 국경 분쟁 문제 해결에도 합의했다는 발표가 나왔다.

시진핑은 올해 하반기에 브릭스(BRICS·신흥국 경제협의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G20 등 다자 외교 무대를 계기로 한국·일본·뉴질랜드·호주·영국·인도 등 캐나다를 제외한 미국의 주요 안보 협력국과 정상회담을 했다. 특히 중국과 영국의 정상 회담은 6년 만에 성사됐다. 중국이 국제사회에서 운신의 폭을 넓히기 위해 전통적 우호국인 북한·러시아와 적극적인 밀착을 꺼리고 있다는 관측도 있다.

중국이 입국 비자를 면제한 국가도 한국·일본·호주 등 미국의 동맹국으로 빠르게 넓어지는 중이다. 코로나 기간에 입국 장벽을 높게 쌓았던 중국이 상호주의 원칙까지 내려놓으며 일방적으로 무비자 입국 선물을 뿌리고 있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이달 1일 한국의 일반 여권 소지자에게 무비자 입국을 허용했고, 이후 무비자 체류 기간을 15일에서 30일로 늘렸다. 일본인에 대해서도 지난 22일 중국 입국 단기 비자를 면제하는 조치를 내놨다.

다만 중국은 가치관이 다른 국가들과 끈끈한 관계를 맺기 어렵고, 미국 주도의 공급망 재편과 유럽·중동에서 벌어지는 ‘두 개의 전쟁’ 소용돌이 속에 언제든 새로운 ‘적’을 만들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중국은 미·중 경쟁에서 유럽연합(EU)을 완충지대로 삼기 위해 공을 들여왔지만 인권, 전기차 관세, 우크라이나 전쟁 등 문제에서 양측의 대립은 여전히 팽팽하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우방국들의 ‘탈선’을 막을 가능성도 크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인수팀이 중국과 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영국 키어 스타머 총리의 최근 행보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고 전했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

[베이징=이벌찬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