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용 반도체까지 규제 강화
그래픽=양인성 |
◇미, 중 범용칩 겨냥 관세 칼 빼들어
미 USTR은 이번 조치에 나선 이유에 대해 “중국은 시장 점유율 목표를 설정한 뒤 불공정하고 비시장적 수단을 동원했다”고 밝혔다.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막대한 정부 보조금을 받아 덤핑 수준의 낮은 가격에 반도체를 판매하면서 글로벌 시장을 잠식하고, 반도체 공급망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가전제품 등에 쓰이는 시스템반도체나 PC용 D램 등 각종 레거시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최근 급격히 늘고 있다. 시장 조사 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중국의 레거시 반도체 점유율은 2023년 31%에서 2027년 39%로 주요국 중 유일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제재의 수단도 강화했다. 그동안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는 대부분 국가 안보 위협에 초점을 맞춰 이뤄졌다. 이번에 통상법 301조로 보다 직접적으로 타격을 줄 수 있는 ‘보복 관세’ 카드를 전면에 내세웠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중국산 범용 반도체는 아직까진 대부분 중국 내수용에 그치고 있지만, 최근 들어 가파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며 “미국 입장에선 더 늦기 전에 관세 등 여러 조치를 통해 견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중 “미국은 자기모순” 강력 반발
조사에 수개월이 걸리는 만큼, 미국의 최종 제재는 차기 트럼프 정부에서 결정된다. 이번 조치가 단기적으로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는 않을 전망이다. 범용 반도체는 국내 기업들이 거의 생산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미·중 갈등이 격화하면서 원자재 등으로 불똥이 튀면, 글로벌 공급망 자체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은 높다”고 했다.
USTR 조치에 중국은 즉각 반발하며 보복 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담화문에서 “미국은 거액의 보조금을 주고 미국 기업이 세계 반도체 시장의 절반 가까이 점유하고 있다”며 “중국의 위협을 과장하는 것은 명백한 자기모순”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실제 보복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은 낮다는 시각도 있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은 “통상법 301조는 불공정 행위가 드러나야 한다”며 “미국이 중국산을 쓰고 있어야 증거를 잡을 수 있는데, 중국은 현재 미국은 물론 한국에도 범용 반도체를 거의 판매하지 않는다”고 했다. 실제 트럼프 1기 정부는 2018년 통상법 301조를 근거로 반도체 등 중국산 818개 품목에 대해 5% 관세를 부과했으나 시장에 큰 영향은 없었다. 이 때문에 이번 조치도 중국과의 패권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협상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통상법 301조
미국의 이익에 반하는 불공정 무역 관행 국가에 대해 미국 대통령이 관세 등 각종 무역 제재를 가할 수 있도록 한 법 조항. 보통 상대국의 정부 보조금이나 수입 쿼터(할당량) 등을 대상으로 한다. 1974년 제정됐지만 자유무역주의 기조로 한동안 효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그러다 1985년 일본 반도체 기업이 급성장하자 미국은 이 조항을 내세워 압박했다.
[윤진호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