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2025 경제정책방향’을 연내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내년도 경제정책방향의 4개 축으로 △대외신인도 제고 △통상환경의 불확실성 대응 △튼튼한 산업체질로의 전환 △민생안정을 위한 정책 강화를 제시했다.
정부는 특히 내수회복과 대외신인도를 높이는 데 공을 들인다는 계획이다. 최 부총리는 지난 23일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재정 조기 집행을 위해 최근 2년간 시행하지 않았던 ‘회계연도 개시 전 예산 배정’을 실시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 같은 상황에서 내년 조기 추경론은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 이는 국회가 야당 단독으로 사상 초유의 ‘감액 예산안’을 통과시킨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이 대표는 또 “자영업자 줄폐업에 폐업 공제금 지급액이 사상 최대치고, 연일 고물가가 갱신돼 국민 지갑은 얇아지다 못해 구멍이 날 지경”이라며 “정부가 이런저런 핑계를 대면서 추경을 막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 당시 경제부총리를 맡았던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추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날 SNS에 “△환율이 한 때 1480원으로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비상계엄 사태 이후 시가총액이 90조원 가량 감소하며 △BSI(기업경기실사지수)가 4년 9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하고 △자영업 폐업자수 예상치가 100만명에 육박한다”면서 “이대로 가다간 경제 퍼펙트스톰이 현실화 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슈퍼 추경을 포함해 특단의 비상경제 대책을 국회와 논의하라”며 “더이상 기존 정책기조의 일관성을 운운하거나 시시비비를 따질 때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야당을 중심으로 조기 추경론이 나오는 것에 관련해서는 “본예산 조기 집행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최 부총리는 “기존 예산을 최대한 당겨서 집행해 국민에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우선”이라면서도 “추가적 논의는 상황을 보며 적절한 것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