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3년 7월 베를린 성마리아 교회 앞에서 제국교회 선전 포스터와 플래카드를 펼쳐든 나치 준군사조직 '스톰트루퍼스' 대원들. en.wikipedia.org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어서)유럽 교회, 특히 루터 종교개혁의 진원지로 바티칸 교황청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덜 미친 독일 제후국 교회들은 사실 국가 권력(왕과 제후)의 그늘 안에서 국가 지원을 받으며 성장했다. 당시 시민들의 종교는 국왕 등 세속 정치 권력자의 종교에 따라 결정됐고, 그게 못마땅한 이들은 ‘아우크스부르크 화의’에 따라 재산을 처분해 이주할 권리를 지녔다.
1차대전 이후 출범한 바이마르 공화국은 근대적 원칙인 정치-교회 분리를 강력 추진했다. 교회에 대한 국가 지원금을 줄였고 교회가 부당하게 전유하던 토지 등 재산을 국유화했다. 학교의 종교 교육과 기도도 금지했다. 하지만 바이마르 공화국은 약했다. 개신교는 물론이고 가톨릭까지 가세한 거센 반발로 종교개혁은 유야무야됐다. 교회는 공공 서비스(의료, 교육 등)를 명목으로 국가 지원금을 되찾았고 정부는 교회세를 걷어 교회 지원 비용을 충당했다.
그런 국면에서 발표된 나치의 방침 즉 국가가 교회를 적극적으로 챙기겠다는 선전은 교회, 특히 개신교회에겐 무척 매력적이었다. 절대다수의 교회가 33년 3월 선거에서 나치를 공개 지지했다. 그게 제국 교회의 밑천이었다.
반면 가톨릭 교회는, 나치에 부역한 사제들이 없진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나치를 경계했다. 구약성경을 배제하려는 방침에 공식적으로 반발했고, 유대인 차별-배제에도 대체로 굴복하지 않았다. 29년 무솔리니의 이탈리아 정부와 라테란 조약을 체결해 교황청의 독립성을 보장받은 교황 비오 11세는 독일 내 가톨릭 교인 보호를 위해 1933년 나치와 협정을 맺었지만, 그는 37년 3월 회칙을 통해 “의심과 불화 (…) 교회 내부의 적대감을 조장”하는 나치 이념을 비판했다. 나치 권력이 굳건해진 뒤 수많은 성직자들이 수용소에서 희생되자 후임 교황 비오 12세도 나치의 폴란드 침공과 홀로코스트를 지속적으로 비난했다. 다만 그는 나치를 명시적으로 비판하지 않아 훗날 비판 받았다.
최윤필 기자 proose@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