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은행 임직원 5년새 4558명 줄어
새해에도 희망퇴직 신청 절차 계속 이어져
모바일 뱅킹 시대 발맞춰 몸집 줄이기 돌입
은행 점포 수도 1년새 50곳 이상 감소해
모바일 뱅킹 등 기술 발전이 이뤄지면서 은행 점포와 은행원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새해에도 희망퇴직 모집이 이뤄지면서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123rf]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1년 사이 은행 점포 50곳 이상이 사라지고 1000명에 가까운 은행원이 짐을 싸고 있다. 모바일 뱅킹이 우리 삶 깊숙하게 자리 잡으면서 더 이상 오프라인 지점과 인력이 동시에 감소하는 추세다. 은행들도 이에 적극적으로 몸집을 줄이고 있다.
10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주요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해 9월 말 임직원 수는 5만6728명으로 5년 전인 2019년 9월 6만1286명보다 4558명 줄었다. 매년 1000명에 가까운 은행원이 줄고 있는 것이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 임직원이 지난 5년간 1523명 감소해 가장 많이 줄었다. 이어 하나은행(-1224명), 신한은행이(-977명), 우리은행(-834명) 순이었다.
새해에도 희망퇴직 절차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우리은행은 지난 2일부터 오는 7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하나은행도 만 40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지난 2일부터 6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지난해 44세까지가 대상이었으나, 올해에는 기준이 38세까지 낮아졌다.
희망퇴직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12월 13일부터 17일까지 38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은행원을 공격적으로 줄이는 배경엔 기술 발전이 있다. 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업무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더이상 점포 업무가 필요없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더이상 임대료와 인건비를 감수하면서까지 오프라인 서비스를 진행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은행 점포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1년 사이 줄어든 수는 50개 이상에 달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은행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실제로 은행 점포 수가 1년 사이 50곳 넘게 사라졌다. 은행 점포 수는 2012년부터 12년가량 추세적으로 감소했다. 그동안 점포 수가 늘어난 시기는 2018년 3분기 한 번뿐이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은행 점포 수(해외 점포 포함)는 총 5849곳을 기록했다. 1년 전(5902곳)보다 53곳 감소했다.
은행 점포 수는 지난 2012년 4분기 말 7835곳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추세적으로 감소했다. 지난 2017년 4분기 말 7000곳 아래로, 2022년 3분기 말 6000곳 아래로 떨어졌다. 이후엔 감소세가 다소 둔화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줄고 있다.
분기별 점포 수가 늘어난 경우는 지난 2018년 3분기 중 6960곳에서 6966곳으로 6곳 순증한 이후 6년 동안 한 번도 없었다.
비대면 거래 비중이 확대되는 경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대면거래 수요가 줄어들면서 창구를 직접 찾는 고객이 점차 줄었고, 은행은 이에 여러 영업점을 하나로 합해 대형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은행은 지난 6일부터 서울 종로구 세종로금융센터를 비롯한 전국 점포 21곳을 인근 점포로 통폐합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지역 간 점포 수 격차가 발생하고, 비대면 거래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 등이 불편을 겪을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고령화가 심한 지역일수록 은행 점포 접근성이 낮아 고령층의 금융 소외가 더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은행 점포 이용을 위해 소비자가 최소한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서울, 부산, 대전은 1km를 넘지 않았지만, 강원, 전남, 경북은 최대 27km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