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5 (토)

이슈 법의 심판대 오른 MB

환경부 4대강 찬성 인사 국립생태원장 임명…환경단체 반발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4대강 사업에 따라 영산강에 지어진 승촌보의 2023년 4월 모습. 류우종 한겨레21 기자 wjryu@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최대 생태연구기관인 국립생태원 원장에 대표적인 ‘생태계 파괴’ 사업인 4대강 사업을 적극 찬성했던 인사가 임명됐다. 환경단체들은 부적절한 인사라며 비판했다.



환경부는 최근 이창석 서울여대 화학생명환경과학부 명예교수를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 원장으로 임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차기 원장의 임기는 23일부터 시작된다. 2013년 환경부 산하기관으로 출범한 국립생태원은 생태계 보전과 생물다양성 확립 등을 위해 일하고, 환경영향평가 검토도 수행하는 전문기관이다. 2021년 9월 취임한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지난해 임기가 만료됐지만 아직까지 자리를 이어오고 있었다.



이창석 명예교수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 추진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찬성했던 인물이다. 그는 2009년 6월16일 정부 정책브리핑 누리집에 ‘4대강 살리기는 환경 살리기’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이 글에서 이 명예교수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은 훼손된 하천을 복원하는 생태 프로젝트”라고 밝혔다. 이 때문에 과거 환경운동연합이 꼽은 ‘4대강 사업 찬동 인사 인명사전’에 “A급”으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환경운동연합은 21일 논평을 내어 “국립생태원 설립 배경과 취지에 가장 맞지 않았던 게 바로 4대강 사업이었다”며 “이 사업은 멸종위기종 서식지 등 무분별한 생태계 훼손으로 생태 위기를 심화시켰다”고 밝혔다. 생태지평도 “기후대응댐도, 수많은 환경파괴적 개발도 청산의 대상”이라며 “정권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이 시기에 알박기 수준의 기관장 인사를 진행하지 말고, 아무것도 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국립생태원은 누리집에서 “세계는 지금 생태계의 무분별한 훼손으로 멸종 위기종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며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생태조사·연구, 생태계 복원 및 기술개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라고 설립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겨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