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국회 기재위 현안질의
與 "내수부진, 추경 요건 아냐…재정 부담에 신중해야"
野 "경기 회복 위해 35조원 빠른 시일 내 편성해야"
기재차관, "20일 국정협의회서 논의 기대"...즉답 피해
정부에선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은 채, 오는 목요일 열릴 국정협의회의로 책임을 넘겼다.
[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8일 서울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현안질의에서 여야 의원들은 추경과 관련된 여전한 이견차를 보였다.
여당은 최근 내수 부진이 추경 편성의 요건이 되는지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종욱 국민의힘 의원은 우선 김윤상 기획재정부 2차관에게 ‘추경 편성의 요건이 되는 경기 침체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추경을 편성하더라도 국채 추가 발행 등에 대한 우려도 표했다. 이 의원은 “한국은행에서 추가 잉여금으로 생길 수 있는 게 3000억원이고, 정부 일반회계 세계잉여금은 지난해 세수 부족 때문에 1000억원 밖에 없다”며 “결국 4000억 정도만 가용재원이고, 전부 국채 발행을 해야되는 상황이어서 엄청난 국채 추가 발행 부담이 있을 것 같다”고 했다.
野, 경기회복 위해 35조원 조기 추경 편성해야
반면 야당에서는 경기 회복을 위해 35조원 규모의 추경 편성을 해야 한다고 재차 주장했다. 앞서 민주당은 13조원 규모의 지역화폐 지급 방안을 포함한 35조원 규모의 추경을 정부·여당에 제안한 바 있다. 민주당은 민생 회복을 위한 예산으로 24조원, 경제 성장 예산으로 11조원을 각각 책정했다
안도걸 더불어 민주당 의원은 그 근거로 잠재성장률과 실제성장률 전망치의 격차인 GDP갭을 들었다. 안 의원은 “꺼져가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추경 규모는 GDP갭은 메워주는 수준은 돼야 한다”며 “올해 성장률을 국제IB 평균인1.6%로 보면 잠재성장률 2.0%와 차이인 0.4%를 채워야한다. 이를 위한 추경 소요가 30~40조원 정도”라고 얘기했다.
안 의원은 추경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추경 편성을 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추경 편성을 늦게 할수록 GDP갭을 메누는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며 “지금 내수, 소상공인이 너무 어렵다. 이런 부분에 대해 이왕 혜택을 드리려면 빨리 해야 한다”며 정부의 빠른 결단을 요구했다.
다만 정부에선 구체적인 추경 편성 규모 및 시점 등에 대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김 차관은 “구체적인 추경의 규모나 내용에 대해서는 이번주 목요일 개최되는 국정협의회에서 논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책임을 돌렸다. 민주당의 35조원 추경안에 대해 의견을 묻는 질의에도 “개별 사안에 대해서 지금 여기서 2차관이 하나하나 다 코멘트하고 평가는 건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며 답을 피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