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공수처가 서버 확보하려하자 방해"
더불어민주당 내란진상조사단 소속 추미애 의원이 심우정 검찰총장을 면담하기 위해 10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으로 향하기 전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2·3 불법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심우정 검찰총장에게 직접 전화해 지시를 내렸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추 의원은 12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윤 대통령과 심 총장의 통화 내역이 비화폰에 들어 있기 때문에 검찰이 비화폰에 대해 지속적으로 수사를 방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당 내란진상조사단을 이끌면서 '공수처가 대통령실 비화폰 서버를 확보하려 했다'는 다수의 제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공수처가 비화폰 서버를 확보하려 하자 검찰이 바로 그날 공수처를 압수수색해버리더라"라며 "검찰은 '공수처가 윤 대통령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서부지법에 신청해놓고 그 사실을 숨겼다'라는 말도 안 되는 핑계를 대고 엄중한 시기에 열심히 하고 있는 공수처의 수사를 방해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대통령실 비화폰 서버에는 계엄에 대한 대통령의 직접 지휘 등 계엄 전모가 다 드러나는 엄청난 것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이 경우 검찰 조직 자체가 와해되거나 해체될 수밖에 없는 여론에 직면하기에 궤변, 법 왜곡을 동원해서라도 (검찰은) 장단을 맞춰야 되고 (서버를) 감춰야 되는 상황에 놓인 것"이라고 판단했다.
검찰의 윤 대통령 석방 지휘를 두고선 '계획된 시나리오'라고 비판했다. 추 의원은 "계엄 다음 날, 삼청동 안가에서 박성재 법무부 장관,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 이완규 법제처장 등이 회동했는데, 당연히 사후 계엄 수사에 대비한 전략회의가 있었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시 회동에서 '수사권 자체가 시비 논란이 될 수 있으니 충분히 활용하자. 그러기 위해선 검찰이 신병을 먼저 확보하는 게 좋겠다' 등 이런 작전이 들어갔다고 보인다"고 주장했다. 안가 모임에서 윤 대통령 측근들이 계엄 수사 관련 사법 대응 시나리오를 짰고, 검찰의 석방 지휘 역시 그 일환이라는 것이다.
오세운 기자 cloud5@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