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5·18묘역서…오월 3단체 불참
"세대·성별·정당·직업 등 세대 통합"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는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를 주제로 5·18민주화운동 45주기 기념행사를 위해 공식 출범했다. 민찬기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는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을 구호로 5·18민주화운동 45주기 기념행사를 위해 공식 출범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슬로건은 '오월'이 용기와 연대의 상징이자 대동의 표상으로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상상력의 연원이라는 뜻을 담았다.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 메인 포스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식 포스터도 지난 12·3 계엄 시도 이후 광장과 거리를 가득 메웠던 응원봉 물결을 상징한다. 검은 어둠 속에서도 각양각색 오색찬란했던 시민들의 열기를 그대로 옮겨와 45주년의 오월 광주로 이어가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
행사위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와 북구 망월동 5·18구묘역(민족민주열사묘역) 등에서 공식 출범식을 개최했다.
출범식에는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 5·18기념재단 관계자와 지역 유관기관과 시민단체 소속 500여명이 참석했다. 그러나 5·18 공법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는 이번 출범 행사에는 불참했다.
출범식 참가자들은 45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드러나지 않은 5·18 당시의 진상에 대한 규명, 책임자 처벌, 12·3 비상계엄을 계기로 뭉친 시민들의 5·18 정신 계승 열망을 다짐했다.
행사위 관계자는 "45년 만에 부활한 계엄은 오월이 화석화된 역사가 아니라 아직도 살아 숨 쉬는 현실임을 일깨웠다"며 "올해 오월은 세대, 성별, 정당, 직업을 넘어 작년 계엄을 함께 겪는 등 새로운 세대 통합을 이뤄내고, 오월 정신이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심장이자 뿌리임을 다시 한번 증명할 것이다"고 밝혔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