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총리 '기각' 결정에 의견분분
재판관 견해차 확인…곧이어 尹 결정
의견 합치 위해 연기…반대 전망도
지난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앞에서 김정재(뒤쪽 왼쪽부터),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앞쪽은 윤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재는 지난달 25일 변론을 종결한 이후 거의 매일 평의를 진행하고 있다.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 사례를 보면, 변론 종결 후 약 2주 만에 선고가 이뤄졌다. 전례를 감안해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도 3월 중순에는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으나 헌재는 아직까지 선고기일을 지정하지 못하고 있다.
선고 지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혔던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사건이 전날 기각되면서 일각에선 대통령 탄핵심판의 결과가 이른 시일 내 나올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한 총리 사건에서 기각, 인용, 각하 결정이 고루 나오면서 이미 헌재 내부에선 대통령 탄핵사건에 대한 재판관별 결정이 가닥이 잡혔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헌재가 한 총리 결정문에서 윤 대통령 소추사유와 맞닿아 있는 내용의 판단을 포함하진 않았지만, 인용과 기각·각하에 대한 심증이 어느 정도 파악됐단 것이다.
만일 오는 28일 선고가 진행되려면 헌재는 늦어도 26일까지는 선고기일을 양 당사자 측과 언론 등에 공지할 전망이다. 헌재 내부에서 선고 전날 공지나 당일 기습 공지 가능성을 낮게 점치고 있어서다. 헌재 관계자는 “확정적이진 않지만 이틀 정도 여유를 두고 공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헌재는 선고기일을 적어도 2~3일 전에는 공지해왔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