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1 (월)

[기자수첩]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그들의 걸어온 길을 되돌아 봐야'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사실 왜곡, 짜깁기, 일방적 주장, 소송'

지난해 9월부터 반년 넘게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고려아연과 영풍·MBK파트너스 연합의 주장하는 내용을 정리하면 이같은 단어로 정리된다. 양측의 엇갈린 주장을 듣고 있으면 말 그대로 막장 드라마를 보는것 같다. 그만큼 죽을 각오로 양측의 문제점을 파헤치며 치열한 주도권 싸움을 펼치고 있다.

특히 MBK 연합은 기필코 고려아연의 경영권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기자회견도 두차례 가량 진행하며 주주와 시장 여론을 긍정적인 흐름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적극적으로 언론을 설득하고 있다.

MBK 연합은 최윤범 회장이 취임 후 회삿돈 수천억원을 신사업 투자라는 목적으로 사용했으며 개인적인 지인과 친인척의 회사에 투자를 진행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는 횡령과 배임 행위에 해당한다며 원아시아파트너스와 이그니오홀딩스에 대한 투자로 회사에 큰 손실을 초래했다고 고려아연 경영진을 상대로 4000억원대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고려아연 측은 MBK 연합의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원아시아펀드 투자는 여유 자금으로 투자했으며 위법행위로 볼 수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MBK 파트너스는 고려아연 측의 부실경영을 문제로 연일 압박 수위를 높여갔지만 홈플러스 사태가 터지며 역전되는 모습이다. 특히 MBK 파트너스의 주장을 신뢰했던 여론도 돌아서는 분위기다.

MBK 파트너스는 지난 2015년 홈플러스를 인수했지만 과도한 차입 경영과 산업의 미래에 대한 인사이트가 부재했다. 또 홈플러스 인수에 성공하자 20여개의 점포를 팔아치우며 부동산 투기에 가까운 경영을 이어갔다. 일각에서는 투자 자본 회수에만 매달린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졌지만 이또한 무시했다. 결국 MBK 파트너스는 최근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선언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홈플러스 사태가 고려아연에서도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제 MBK파트너스와 같은 사모펀드는 기업을 인수한 뒤 대규모 인적 구조조정 등을 진행한 뒤 기업을 비싼 가격에 되파는 방식으로 수익을 확보한다.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의 분수령인 정기 주주총회가 오는 28일로 다가왔다. 누가 회사를 이끌어갈 적임자인지 그동안 양측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고 올바른 판단을 해야할때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