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3분기 블랙웰 도입 계획 발표…공정위엔 행정소송 예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유영상 SK텔레콤 최고경영자(CEO)는 26일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사옥에서 진행된 제41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최근 대규모 서비스형GPU(GPUaaS) 사업 수주에 실패한 데 따른 영향을 묻는 질문에 “한 번 수주하지 못했다고 해서 전체 사업에 대단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이 같이 밝혔다.
앞서, 현대자동차그룹의 자율주행기술 자회사 포티투닷이 1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GPUaaS 사업을 발주했다. 지금까지 발주된 대부분의 GPUaaS 사업규모가 수십억원 미만이었던 부분을 감안하면, 이는 이례적인 수준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다만, SK텔레콤은 이번 사업을 수주하는데 실패했다. 네이버클라우드가 2년간 1000억원 이상 대규모 공급계약을 지난달 말 체결했으며, KT클라우드도 수백억원 규모로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이 연내 AI 사업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겠다고 밝힌 만큼, 이날 주주총회에선 SK텔레콤의 AI(인공지능) 사업 경쟁력을 묻는 질문이 계속 이어졌다. 이에 대해 유 CEO는 인프라 측면에선 엔비디아의 ‘블랙웰(Black Wall)’을 도입하는 한편,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에 대한 참여 의지를 밝혔다.
한편, 유 CEO는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 결정에 대해 행정소송을 제기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앞서 공정위는 이동통신 3사가 지난 2015년 1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번호이동(MNP) 순증감 건수가 특정 사업자에게 편중되지 않도록 상호 조정하기로 합의, 실행한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총 1140억원(잠정)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SK텔레콤 426억원, KT 330억원, LG유플러스 383억원이다.
유 CEO는 “아직 (최종 의결서를) 안 받았다. 받게 되면 대응하겠다”라며 “행정소송은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