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시장 위축·지상파 CPS 상승 영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26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도 방송시장 경쟁상황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방송시장의 효율적이고 공정한 경쟁환경 조성을 위한 목적으로, ▲유료방송시장 ▲방송채널거래시장 ▲방송영상콘텐츠 거래시장 ▲방송광고시장 등 4개 부문에서 이뤄졌다.
먼저, IPTV(인터넷TV)와 케이블TV(SO),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 사업자의 2023년 가입자 수와 매출 증가율은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도 가입자 수는 3629만(단자수 기준)이고 방송사업 매출액은 7조 23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 0.01%, 0.4% 증가에 머물렀다.
유료방송시장의 매출이 감소한 배경엔 주 재원인 방송광고 매출의 하락이 있었다. 방송광고 시장은 전년 대비 18.5% 감소한 2조3574억원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OTT 내 광고를 포함한 디지털 광고 비중은 늘었다. 전체 광고 대비 디지털광고 비중은 2022년 58.4%에서 2023년 60.7%로, 2.3%포인트(P) 늘었다.
즉, 과거 광고주들이 방송 광고가 주목도와 도달 범위 등에서 뛰어나다고 인식했지만 최근에는 OTT 광고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했다는 평가다. 실제 2024년 광고 대행사 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방송광고를 집행할 수 없을 경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가장 많이 선택(60.9%)할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증가세가 위축된 가운데, 콘텐츠 사용료는 늘었다. 유료방송 사업자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사이에서 방송 채널의 전송권과 그 대가가 결정되는 방송채널거래시장 매출액은 2023년 기준 1조4940억 원으로, 전년보다 9.3% 증가했다. 여기에는 지상파PP의 재송신료 매출액 증가 영향이 컸다. 지상파방송의 재송신료(CPS) 매출액은 전년보다 1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플랫폼의 오리지널 드라마 편성·공급 감소로도 이어졌다. 국내 방송사와 OTT가 2023년 편성·공급한 오리지널 드라마는 총 90개로, 전년(115개)에서 대폭 줄었다. 같은기간 해외 OTT의 경우 한국 작품 수가 2022년 21개에서 2023년 30개로 증가, 한국 방송영상콘텐츠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방통위는 이번 평가 결과를 토대로, 특정 사업자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미디어 생태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봤다. 이에 방송영상콘텐츠 경쟁상황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관련 통계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편, 이번 평가는 2023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공표집과 회계보고서, 방송산업 실태조사보고서 등 미디어 시장 관련 자료를 활용하고 이용자‧제작사‧광고주 등의 설문조사(2024년 실시)를 거쳐 진행했다. 방통위는 ‘2024년도 방송시장 경쟁상황 평가’ 보고서와 주요 데이터, 그래픽 파일을 방통위 누리집)과 방송통계포털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