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돼지의 간 이식했더니 10일 간 부작용 없어… 최초의 연구 사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장기 이식용 유전자 조작 ‘바마 미니 돼지’ 사진.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뇌사자에게 이식한 돼지의 간이 10일간 거부 반응 없이 담즙과 알부민을 생성하고 혈류도 안정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시안 제4군 의과대학 린 왕 교수팀은 27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초급성거부반응 유전자 등 유전자 6개를 편집한 바마 미니 돼지(Bama miniature pig) 간을 뇌사자에게 이식 후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해당 이식은 인간의 간을 완전히 대체한 것이 아니라 돼지의 간을 보조 간으로 추가한 ‘이종이식’이다.

최근 몇 년간 미국 등에서 돼지의 심장과 신장을 인간에게 이식한 사례가 있었으나 돼지의 간을 이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돼지 간은 생리적 특성이나 크기 때문에 인간 간의 대체 장기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간은 기능이 상대적으로 단순한 심장이나 신장에 비해 소화와 면역체계 조절 등 복합 기능을 해서 이식이 더욱 까다로웠다.

논문 교신저자인 린 왕 중국 제4군사의과대 교수는 지난 25일 브리핑에서 “돼지 간이 인체 내에서 잘 작동하는지를 확인한 것이 이번 연구의 성과”라며 “간 이식을 위해 오래도록 기증자를 기다려야 하는 동안 환자들의 생명을 유지하는 ‘다리’ 역할로써 돼지 간의 활용 가능성도 모색해보려 한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연구에는 제한점이 많아 실제 이식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까지는 여러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뇌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인 데다, 뇌사자의 가족이 실험을 10일간만 허용해 더 장기적인 영향을 관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반 페르난데스 베가 스페인 오베이도대 병리해부학 교수는 “단일 사례에 대해서만 연구가 진행됐고, 약물대사나 해독, 면역 등 복잡한 간 기능에 대한 평가가 없는 점이 한계”라고 말했다.

피터 프렌드 영국 옥스퍼드대 이식학 교수도 “이식 후 정상적인 혈액 응고 매개변수가 유지되는 것은 고무적이나, 이것이 원래 간이 아닌 이식된 간에서 생성된 것인지를 직접 측정하지 않아 성과가 확실히 증명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