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1 (화)

[비즈톡톡] 트럼프 대중 협상 카드로 떠오른 ‘틱톡 매각’… 美 1억5000만 이용자 운명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러스트=챗GP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틱톡(중국 바이트댄스 소유)의 미국 사업권 매각에 중국이 협조한다면, 대중(對中) 관세를 낮출 수도 있다”고 밝히면서, 글로벌 숏폼 플랫폼 틱톡을 둘러싼 미·중 간 갈등 구도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당초 지난해 4월 미 의회가 통과시킨 ‘틱톡 금지법’에 따라 바이트댄스가 270일 이내 틱톡 미국 사업을 매각하지 않으면 퇴출될 예정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초 마감 시한을 75일 유예했습니다.

미국 내 월간활성사용자수(MAU)가 1억5000만명에 달하는 틱톡을 하루아침에 퇴출시키는 것은 10~20대 젊은 이용자층을 중심으로 사회적 반발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미 정부로서도 일방통행이 어려웠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에도 “틱톡이 없어지면 페이스북만 반사이익을 얻는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이는 틱톡 퇴출이 단순한 안보 이슈를 넘어, 미국 내 플랫폼 경쟁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틱톡을 둘러싼 갈등은 크게 ‘안보’와 ‘무역’이라는 두 축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미 정부와 의회는 틱톡이 방대한 이용자 데이터를 중국 정부와 공유할 위험이 있다는 의심을 바탕으로, 이를 국가안보 이슈로 규정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이 틱톡 매각에 협조하면 대중 관세를 낮출 수도 있다”고 언급한 것은, 틱톡 문제를 국가안보·무역과 연계해 중국 측에 압박을 가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그러면서 “중국은 틱톡보다 관세 완화를 더 가치 있게 볼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미국이 틱톡에 집착하는 이유는 단순히 중국 기업에 대한 견제 차원을 넘어, 글로벌 여론 주도권과 데이터 주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틱톡은 인공지능(AI) 추천 알고리즘, 사용자 빅데이터, 동영상 광고 기술 등 차세대 플랫폼의 핵심 자산을 갖추고 있어, 이를 미국 빅테크 진영으로 끌어들이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은 공식적으로 “틱톡은 현지 법규를 준수했으며, 미국 안보를 저해한 바 없다”고 반박하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틱톡 알고리즘 등 핵심 기술 유출을 우려해 매각 자체를 적극적으로 막고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시장에서는 틱톡의 미국 사업 가치가 최소 600억달러(약 87조9960억원)에서 최대 1000억달러(약 146조66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바이트댄스 창업자 장이밍이 최근 중국 최고 부자로 등극했다는 소식도 이러한 평가에 무게를 더합니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MS)·오라클은 물론이고 인공지능(AI) 검색 분야 신흥 강자인 퍼플렉시티까지 틱톡 인수 의사를 밝힌 바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틱톡이 보유한 방대한 사용자층과 동영상 빅데이터, 독특한 추천 알고리즘에 매력을 느끼고 있으나, 중국 정부의 승인과 가격 협상이 걸림돌로 작용해 거래는 지지부진한 상태입니다.

중국 측에서는 “틱톡을 끝까지 협상 카드로 활용하겠다”는 기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중국 외교부는 공식 브리핑에서 “미국이 이성적으로 판단해 각국 기업에 공정·비차별적인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막후에서 틱톡 매각을 지연하거나 거래 자체를 거절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7일 브리핑에서 “틱톡 문제에 대해 이미 여러 차례 입장을 밝혔다. 중국은 관세 인상에 일관되게 반대해왔으며, 이는 명확한 입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중 분쟁 속에서 틱톡이 미국 기업에 넘어가거나 미국 내 서비스가 완전히 금지될지, 글로벌 플랫폼 생태계의 향방을 가를 분기점이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이경탁 기자(kt87@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