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미 빅테크 지식재산권 제한 등 보복 검토"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 HMGMA)'에서 전기차들이 조립되고 있다. 엘라벨=AP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차에 대해 4월 3일부터 25% 관세 부과를 공식화하자 유럽 각국 정상들이 일제히 "미국에 해가 될 것"이라며 경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유럽연합(EU)은 미국 빅테크(주요 기술 기업) 회사들을 겨냥한 조치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7일(현지시간) 영국 BBC방송, 가디언 등에 따르면 이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낳고 일자리를 파괴한다"며 "관세 부과는 좋은 생각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도 "트럼프의 결정은 잘못됐다"며 "관세와 고립은 모든 사람의 번영을 해친다. 미국은 오직 패배자만 있는 길을 선택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강경 대응을 예고하기도 했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관세 부과 정책이) 매우 우려스럽다. 영국은 실용적이고 냉정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했고, 로버트 하벡 독일 재무부 장관도 "EU는 확고히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미국발 자동차 관세 폭격이 미국에 해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자동차업계에 부품을 공급하는 영국 기업 유니파트 창립자인 존 닐은 BBC에 "해외 구매자들이 무역 전쟁에 대응해 중국산 대체품을 구매할 것"이라며 "(관세 부과는) 중국에 대한 선물"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자동차 시장조사기관 콕스오토모티스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다음 주에 관세가 시행되면 북미 지역 자동차 생산이 4월 중순까지 중단될 것"이라며 "이로 인해 미국 공장에서 현재보다 약 30%는 적게 생산될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손성원 기자 sohnsw@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