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10년만에 만나고 귀국
중국 문제 등 취재진 여러 질문에 대답 없이 자리 떠
미국법인, 새 로비업체와 계약...백악관 실세 딸 근무
이 회장은 이날 서울 강서구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에서 취재진으로부터 '시 주석과 만남', '반도체 위기론' 등에 대한 질문을 받았지만 별다른 대답 없이 자리를 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8일 베이징 인민대회장에서 시진핑 국가주석 주재로 열린 글로벌 기업인과 만남 회의에 참석해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장에 잘 다녀오셨냐'는 인사에는 "네"라고 답했지만, 중국 현지 일정에 대해선 침묵을 지킨 것이다.
삼성의 전략 시장인 중국을 찾아 실리를 챙기면서도, 앞으로 만나야 할 미국에 불필요한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함이라는 의미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중국 쪽에서 찍힌 사진을 보면 이 회장이 항상 맨 앞줄, 시진핑 주석과 가장 가까운 자리에 있지 않느냐"며 "외국 기업들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하는 중국 입장에선 한국 대표 기업인인 이 회장을 최대한 존중하고 예우한 것으로 보인다"고도 했다.
실제로 이번 중국 출장은 이 회장이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합병 의혹 관련 항소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후 첫 글로벌 행보였지만, 삼성 측은 이 회장의 경영 행보를 외부에 알리지 않았다.
지난 22일 중국 베이징 인근에 자리한 샤오미의 전기차 공장에 방문한 것도 현지 매체의 보도로 외부에 알려졌다. 이후 24일 심천으로 이동해 BYD 본사를 찾은 일도 BYD 측을 통해 알려진 경우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한 번도 미국을 찾지 않은 이 회장의 방미 일정도 조만간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미 상원 로비공개법(LDA)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 미국 법인은 지난 17일 새로운 로비 업체 '콘티넨털 스트래티지'와 계약했다. 이 회사는 수지 와일스 미국 백악관 비서실장의 딸이 근무하는 곳이다.
이 회장이 직접 글로벌 공급망을 점검하고, '트럼프 2기' 행정부 고위 인사들과 만남도 예상된다. 중국을 시작으로 미국, 베트남, 유럽 등 주요국 사업장을 두루 둘러볼 가능성도 높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해 중국에서 64조9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체 매출 209조원 가운데 31%로 미주(61조4000억원), 유럽(29조1000억원)보다 큰 시장이다.
이 회장이 이번에 방문한 샤오미는 반도체와 모바일 디스플레이, BYD는 전장 부품과 배터리 분야에서 삼성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왔다.
/박지은 기자(qqji0516@inews24.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