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조계종이 주최한 ‘서울국제불교박람회’는 방문자의 80%가 2030이었다고 한다. MZ세대 사이에서 불교가 ‘힙한 종교’로 떠오르면서 불교박람회가 젊은층의 축제로 급부상하는 모양새다.
이렇듯 핫한 불교박람회에서도 참가했다 하면 오픈런과 품절 대란을 일으키는 부스가 하나 있다. 바로 군 소속(군종특별교구) 스님들이 운영하는 디저트숍 ‘스님의 빵앗간·스밀스밀’ 부스다. 참관객들은 “불교박람회 가면 일단 여기부터 줄 서야 한다” “수십 분 줄 섰는데 결국 품절 돼버렸다” 등등 치열한 구매 후기를 전하고 있다. 스님들이 밀크티를 우리고 휘낭시에를 굽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서울경제신문이 ‘스밀스밀’을 기획하고 제작한 여거 스님을 직접 만나고 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군장병 위문하려 만든 스님의 밀크티 ‘스밀스밀’
최근 서울 동작구 보라매법당에서 이곳의 주지이자 불교박람회 화제의 아이템 ‘스밀스밀’을 기획한 여거 스님을 만나고 왔다.
보라매 법당은 보라매공원 안에 위치해 있다. 공군 최초의 법당으로 1971년 건립됐다. 보라매공원에 있던 공군사관학교는 1985년 청주로 이전했지만, 법당은 이곳에 남아 주민들을 위한 종교 시설로 역할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님의 밀크티’에서 따온 ‘스밀스밀’이란 제품명도 군 장병들이 붙여준 애칭이다. “요즘엔 뭐든 줄여서 말하잖아요. 스님이 만든 밀크티라고 ‘스밀 먹으러 가자’ ‘스밀 맛있다’ 이러더라고요. 재미있어서 아예 이름으로 썼어요.”
군대 내에서만 맛볼 수 있던 밀크티가 세상 밖으로 나온 것은 2023년이었다. 불교박람회에 처음으로 군종특별교구 부스를 차리게 됐고 휘낭시에, 에그타르트 그리고 밀크티를 들고 나갔다. 처음엔 호기심에 오던 참관객들 사이에서 맛으로 입소문이 나며 완판을 했다. “지난해에는 웨이팅 인원이 200명까지 늘었어요. 물량을 맞추려고 하루에 스무 시간은 일을 한 것 같아요.”
부스가 대박난다고 해서 스님 개인에게 금전적 이득이 돌아오는 것은 아니다. 수익금 전액은 오직 군장병들을 위해서 사용된다. 이 수익금은 또다시 낯선 군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장병들에게 소소한 행복으로 전달될 것이다. 스님은 “힘들었지만 정말 재미있었다. 함께 모여서 뭔가를 해냈다는 것에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
도파민의 시대, 슴슴함을 찾는 2030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불교박람회, 나아가 불교에 대한 MZ세대의 뜨거운 관심을 스님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
“서울대 신입생 동아리 설명회에서 있었던 일이에요. 몇 분간 주어진 홍보 시간에 다른 동아리들은 화려한 홍보를 쏟아냈어요. 그런데 불교 동아리는 목탁 한 번 치고 아무 것도 안했대요. 화면엔 가입 큐알코드만 띄워 놓고요. 근데 인기 폭발이었다는 얘길 들었어요. 이런 걸 보면 요즘 사람들이 정말 고자극에 지쳐있구나 싶어요. 그래서 불교를 찾는 분들이 점차 늘어나는 것 같아요.”
군승으로서 많은 청년들의 고민을 들어온 여거 스님은 요즘 젊은이라고 고민의 내용이 다르진 않다고 했다. 연애, 진로, 관계가 주된 고민거리라고. 과거와 다른 점이 있다면 갈수록 ‘선택’을 어려워한다는 점이다.
고민에 빠져 선택이 어려울 때, 스님은 ‘자신이 생각하는 의미’에 집중하라고 조언했다. “저는 인생에 정해진 의미는 없다고 생각해요. 남들이 잡초라고 해도, 내가 애정을 갖고 의미를 붙여주면 꽃이 돼요. 내 삶도 남들이 아닌, 스스로가 의미를 부여해 준다면 멋진 인생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한편, 2025년 서울국제불교박람회는 오는 4월 3일부터 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사전등록 인원이 사상 최초로 4만 명을 돌파, 올해도 관람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윤선 기자 sepys@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