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방 생체 조직칩에 향료 성분을 투입해 혈-뇌 장벽 통과 여부를 실험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우리 연구진이 화장품·세제 등의 꽃 향기 첨가에 쓰이는 '시트로넬롤' 성분에 과하게 노출될 경우 뇌에 신경 독성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최초로 밝혀냈다.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영국)은 배명애 박사팀이 박해철·김수현 고려대 교수팀과 시트로넬롤 고농도 노출 시 신경·행동학적 장애 및 독성 현상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30일 전했다.
이번 연구는 신뢰성을 높이고자 다양한 실험 모델로 비교했다. 2가지 동물과 2가지 인공생체 조직으로 검증했다. 또 신경전달 물질 체 내 변화를 확인하는 대사체 분석 기술도 활용했다.
우선 실험용 물고기(제브라피쉬)와 쥐를 이용해 향기 성분이 체 내 흡수 후 혈액-뇌 장벽을 통과해 뇌로 전달되는지 여부, 이에 따른 뇌 세포 손상 여부를 관찰했다.
'키뉴레닌'이라는 신경계 대사체 변화도 보였다. 키뉴레닌은 두 가지 물질로 변할 수 있는데 키뉴레닌산의 경우 뇌를 보호하고, 신경독성 분자인 3-하이드록시 키뉴레닌(3-HK)으로 바뀌면 신경세포를 손상시킨다. 그런데 시트로넬롤은 키뉴레닌 변화 방향을 3-HK로 유도하는 것이 확인됐다.
게다가 사람 유래 세포 기반 뇌 오가노이드와 혈-뇌 장벽 생체 조직칩을 활용해, 동물 실험 독성 기전이 사람에게도 유사하게 나타날 가능성을 확인했다.
현재 우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시트로넬롤을 알레르기 유발 가능 물질로 지정하고 있다. 사용 후 씻어내는 클렌징 같은 제품에서는 0.01% 이상, 로션처럼 씻어내지 않는 제품은 0.001% 이상 함유 시 표시하도록 규제 중이다.
이영국 원장은 “후속 연구로 생체 모사 플랫폼 기반 인체 위해성 평가에 활용, 국민 건강 보호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