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와 ‘한국 범’, 새롭게 수록…40년 외신 경력의 눈으로 담은 한국 문화유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인 최초로 1993년 퓰리처상 수상후 1999년에는 두번째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포토저널리스트 강형원 기자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 개정증보판을 출간했다.
이 책은 미국 LA 타임스, 로이터, AP 통신, 백악관 전속 사진부로 근무하는 등 33년간 미주 주류 언론인으로 활동한 저자가 ‘외부인의 눈’과 ‘내부인의 시선’으로 한국의 문화유산을 기록한 컬렉션이다.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 초판이 출간된 이후 tvN <유 퀴즈>, KBS <아침마당>, MBC <일타강사>, EBS <거인의 어깨>를 비롯한 많은 매체와 프로그램을 비롯해 정부 기관, 대학교, 강연장 등에서 독자를 만나고 있으며, 한국 내에서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 등을 오가며 이 책과 함께 우리 문화유산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 강형원은 LA 4·29 폭동(1992), 빌 클린턴 스캔들(1998), 9·11 테러, 이라크 전쟁 등 세계 주요 현장을 취재하며 퓰리처상을 두 차례(팀 수상) 수상한 베테랑 포토저널리스트다.
이번 개정증보판에는 대한민국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우리 민족의 정신과 자주독립의 염원을 상징하는 ‘태극기’, 또 일제강점기에 야생에서 멸종되었던, ‘한국 범’ 을 새롭게 촬영해 추가됐다.
또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산호랑이보전센터와 협력해 촬영한 ‘한국 범’ 사진은 강인한 호랑이의 이미지뿐 아니라 장난스럽고 익살맞은 표정까지 담아내며 생동감을 더했다.
로이터통신 재직시 2009년 미국 백악관 크리스마스 파티에서 오바마 대통령 부부와 강형원 기자(오른쪽)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강형원 기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개정증보판에는 초판 이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하회 별신굿 탈놀이’, ‘가야 고분군’과 함께 등재를 앞둔 ‘반구대 암각화’ 관련 정보도 업데이트됐다. ‘종묘 제례’, ‘훈민정음 해례본’, ‘증도가 금속활자본’ 등 주요 문화유산 역시 후속 취재를 통해 내용과 사진이 보완되었다.
특히 표지에는 초판과 마찬가지로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불교 문화재인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이 실렸다.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에서 단독 전시되며 인기를 끈 반가사유상은 강형원의 렌즈를 통해 평면 위에서도 생생한 존재감을 발한다.
이 책은 단순한 사진집을 넘어, 한국인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되새기고, 다음 세대와 세계인을 향한 문화적 메시지를 담은 기록물이다.
포토저널리스트 강형원은 “문화유산은 살아 있는 이야기이며, 감명있는 사진은 세대와 언어의 장벽을 넘어 그 이야기를 전할 수 있는 강력한 소통수단”이라고 말했다.
오준 세이브더칠드런 이사장(전 UN 대사)는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유산’은 오랫동안 외교관으로 일하면서 우리 문화유산을 제대로 된 사진과 영어로 소개하는 일이 얼마나 필요한지 절실히 느꼈다. 이 책은 그런 목마름을 해소하는 단비와 같다”고 말했다.
가수 장사익(소리꾼)은 “강형원은 고국의 찬란한 문화를 멀리 미국에 제대로 알려야겠다는 일념으로 한국의 이곳저곳을 몸으로 부딪치며 혼신의 노력을 다한다”며 “이 책에서 오늘도 고군분투하는 그의 모습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축사를 전해왔다.
백악관 출입기자 시절 빌 클린턴 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 강형원 기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저자 강형원 기자는 1963년 한국에서 태어났으며, 1975년 고향을 떠나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미국 UCLA에서 정치학·국제외교학을 전공한 뒤 LA 타임스, AP 통신, 백악관 사진부, 로이터 통신 등 미국 주류 언론사에서 포토저널리스트로 근무하며 1992년 LA 4·29 폭동을 비롯하여 이라크 전쟁, 9·11 테러 등 국제적인 뉴스를 취재했다.
1993년 LA 4·29 폭동 취재로 퓰리처상(Spot News)을 한인 최초로 수상했다. 1999년에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스캔들 보도 사진으로 두 번째 퓰리처상(Feature Photography)을 수상했다.
그는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유산보호유공자 대통령표창장’, ‘서재필언론문화상’을 수상했다.
강형원의 ‘Visual History of Korea’ 프로젝트는 한국과 한국 문화를 제대로 알리기 위한 여정이며, 이번 개정증보판은 그 여정의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
미국 LA타임즈 재직시 1992년 4·29 LA폭동을 취재한 사진. 퓰리처상 수상 사진이다. / 사진=강형원 기자 제공 (무단전제, 재배포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