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가 31일 서울 서초구 태봉로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열린 제43기 정기 주주총회를 진행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T가 오는 2028년 B2B 형태의 인공지능 전환(AX) 사업 매출을 2023년 대비 3배 이상 성장 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력 확대 등을 통해 AX 생태계를 확장하고, 산업별 맞춤형 레퍼런스를 조기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KT는 31일 서울 KT연구개발센터에서 열린 제4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같은 사업 구상을 공유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이날 의장 인사말을 통해 “KT는 AICT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한 지 1년 만에 혁신과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며 “올해는 B2B AX, AI 기반의 CT, 미디어 사업 혁신을 통해 AICT 기업으로의 완전한 변화를 달성하고 기업가치 향상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KT는 작년 마이크로소프트와 5년간 약 2조4000억원을 국내 AI·클라우드 시장에 공동 투자하는 업무 협약을 맺고, 다양한 AI 사업을 추진 중이다.
KT는 MS와 추진 중인 이 사업의 한국 시장 규모를 올해 6조3000억원로 예상하면서, 10% 이상의 매출 목표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오는 2029년에는 시장 점유율 20%이상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날 김영섭 대표는 KT그룹 내 구조조정과 자산매각 등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김 대표는 작년 진행한 구조조정은 '합리적'인 절차이며, 부동산 자산 매각 추진은 경영진의 책무 일환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 관리를 위해서는 신참·중견·고참 직원들이 조화를 이뤄야 했다”며 “신입사원을 10여년 동안 뽑지 못했는데, 이런 차원에서 생각해 보면 합리적 구조조정은 필요했다”고 강조했다. KT에 따르면 선로관리 인력 5700명 중 50~60%가 정년에 가까운 5060세대로 구성됐다.
호텔·부동산 등 부동산 자각 매각에 대해서는 “KT는 기본적으로 통신과 AICT를 본업인 기업인 만큼 이 분야의 발전을 적극 도모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수익이 낮은 유휴부지 부동산 등은 제값을 받고 잘 팔아서 그걸 본업에 쓰는 방안을 준비·고민하는 건 경영진이 해야 할 마땅한 책무”라고 말했다.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