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에서 최근 8개월 새 꿀벌 수억 마리가 떼죽음을 당하는 일이 발생하면서 양봉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29일(현지시간) 미국 CBS 방송과 영국 가디언 등 외신은 미국 양봉 관련 비영리 단체인 ‘프로젝트 아피스 엠’(Project Apis M)이 현지 양봉업자 7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겨울 봉군(蜂群·벌떼) 중 62%가 평균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양봉업자가 키우는 꿀벌은 미국 전체의 약 68%로 봉군 183만5000개에 해당한다.
대형 양봉업자인 블레이크 슈크는 “운영하는 양봉장에서 꿀벌 수만 마리가 죽었다”며 “이번처럼 꿀벌이 많이 폐사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예컨대 꿀벌의 수분을 통해 1에이커(4046㎡)당 900~1360㎏의 아몬드가 생산되지만, 꿀벌의 수분이 없으면 1에이커당 90㎏ 밖에 나오지 않는다.
꿀벌 폐사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설이 제시되지만, 아직 확실하게 규명된 것은 없다. 과학자들은 기후변화와 꿀벌 서식지 감소, 살충제 사용 등이 꿀벌에게 악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고 있다. 디민 미국 텍사스주 A&M 대학교의 줄리아나 랭글 곤충학 교수는 꿀벌의 서식지와 기후 동향 등이 잠재적 요인이지만 확실한 답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겨울 동안 약 78억 마리에 달하는 꿀벌이 집단 폐사했다고 밝힌 바 있다. 충남에서는 28만3000군 중 10.4%에 해당하는 2만9000군이 사라져 총 73억 원 상당의 피해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도는 최근 이상기후와 꿀벌 질병 확산 등으로 꿀벌 개체 수가 평년 수준을 밑돌아 양봉 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문예빈 기자 muu@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