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새벽배송 대행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물류업체 팀프레시가 자금난으로 인해 일부 서비스를 중단했다. 투자금 납입이 지연되면서 택배기사 보수 지급이 어려워졌다는 이유에서다.
이를 두고 물류산업의 구조적인 자금난에 팀프레시의 경영 실패가 더해진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투자금 납입이 일시 지연된 정도로 핵심 서비스를 3주 동안이나 전면 중단한 것은 그만큼 사업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취약한 재무 상태가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방증이라는 얘기다.
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팀프레시는 전날부터 새벽배송 서비스를 중단했다. 팀프레시는 고객사에 공문을 통해 "4월 1일로 계획됐던 투자금 납입 일정이 지연됨에 따라 기사님들의 운행 거부가 예상된다"며 서비스 중단 사실을 알렸다. 팀프레시는 새벽배송 서비스를 오는 21일 재개할 예정이다.
2018년 창업한 팀프레시는 기업 간 거래(B2B) 물류업체다.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들의 새벽배송 대행이 주력 사업으로, 시장 점유율은 95% 이상으로 알려졌다. 매출액은 창업 첫해 연결 기준 27억원에서 지난해 5444억원으로 200배 이상 급성장했다.
외형이 급성장했지만 팀프레시의 수익성은 계속 악화했다. 2021년 224억원 수준이던 영업적자폭은 지난해 781억원으로 커졌다. 팀프레시 실적 악화는 대행업체 난립으로 경쟁이 격화된 데다 쿠팡·컬리 등 주요 새벽배송 고객들이 자체 물류를 구축한 결과다. 새벽배송은 배송 건당 상품 가격에서 약 10% 수준의 수수료를 받는 모델이다. 대형 고객들의 대규모 주문을 따내지 못하면 수익성 개선이 쉽지 않다. 팀프레시는 지난해 초부터 시리즈E 투자 라운드를 진행해왔다. 이 투자로 흑자 전환을 이뤄 추가 자금조달 없이 곧바로 기업공개(IPO)로 향한다는 전략이었다. 하지만 장기간 투자 유치에 실패했고, 올해 들어 지난달 300억원 투자가 정해졌다. 팀프레시 관계자는 "당초 2월 28일까지 투자금을 지급받기로 했지만 투자사 내부에서 행정절차가 길어지며 투자금 납입이 3월 중순으로 한 차례 미뤄지고, 다시 4월 10일로 넘어갔다"고 설명했다.
팀프레시는 투자금을 추가로 유치해 사업을 정상화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시장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투자금을 유치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한 번 배송이 중단된 곳에 믿고 물건을 맡길 고객사는 많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19 때 우후죽순 생겨난 물류 스타트업들이 후속 투자 유치 실패로 무너지는 사례는 더 생겨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이커머스 수요가 폭증할 당시 기업가치를 평가받아 투자를 받아놓고 실제 수익이 나는 사업으로 전환하지 못한 기업이 상당하다. 돈줄이 마르면 직원 월급도 주지 못하는 기업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홍주 기자 / 이선희 기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