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철강업계 직격탄
반도체·배터리·가전 업계도 긴장
국내 제조기업 60% 이상 관세 영향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언한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주요 산업에 25% 관세가 부과된 가운데 추가 관세까지 더해지면 한국 기업들은 ‘이중 관세’의 직격탄을 맞게 된다. 기업들은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 핵심 산업에 미칠 파장을 우려하며 숨죽이고 있다.
1일 산업계에 따르면 자동차 25% 관세율에 더해 상호관세가 추가로 얹어질 경우 한국산 자동차가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결국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판매량 감소와 생산 차질이 예상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2028년까지 미국 자동차, 부품·물류·철강, 미래 산업·에너지 분야에 총 210억 달러(약 31조 원)를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하는 등 선제적으로 움직였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한미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무관세로 101만5005대를 미국에 수출했다. 향후 현지 생산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더라도 50만∼70만대는 관세 영향권에 남는다.
가장 먼저 품목별 25% 관세를 맞았던 철강 업계도 추가적인 상호관세에 대응책 마련을 고심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미국 현지에 자동차 강판 제품 등을 생산하는 대형 제철소를 새로 짓는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 현대차 공장 등에 납품하는 철강재에 대한 관세 부담을 줄이고 미국 거래선에 안정적으로 철강을 공급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미 투자 반도체 기업에 지급하기로 한 ‘칩스법’ 보조금의 재협상 가능성을 언급한 점도 우려를 키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아직 약속된 보조금을 전부 받지 못했다. 만약 지원 규모가 줄어들거나 조건이 변경될 경우 향후 미국 내 반도체 투자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가능성이 높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는 배터리 업계는 특히 직격탄을 맞을까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캐나다에는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등이 진출해 전기차 핵심 광물과 배터리 소재를 생산 중이다. 관세가 부과되면 리튬, 니켈 등 소재 가격이 상승해 배터리 가격 경쟁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가전 업계 상황도 비슷하다. 멕시코 공장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되는 삼성전자와 LG전자 가전 제품에 상호관세가 추가되면 멕시코산 제품 가격 경쟁력은 크게 떨어지게 된다. 두 회사는 생산지를 미국으로 일부 이전하거나 증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로 미국 제조 제품의 생산비 역시 증가가 불가피해졌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미국 관세가 현실화되면서 우리 제조기업들은 대미 수출뿐만 아니라 중국의 저가공세 등 간접영향까지 더해져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며 “정부는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과 피해 기업 지원책을 마련해야 하며, 장기적으로 대외 리스크를 이겨낼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투데이/송영록 기자 (syr@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