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4월 첫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 0.21%↑…"탄핵 이후 숨고르기 장세"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토허제 확대 지정 이후 서울 상승 지속

전국 매매가 0.13% 상승…세종 0.25%↑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된 이후인 4월 첫주 서울 부동산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21% 상승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인용으로 당분간은 숨고르기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KB부동산 주간KB아파트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일주일만에 0.22% 치솟은 가운데 5일 서울 마포구 부동산에 아파트 매매와 전세 가격이 붙어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4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3% 상승했다. 서울은 0.21% 올라 수도권(0.15%) 시세 상승을 주도했다. 경기·인천은 0.08% 올랐다. 5대광역시는 0.04%, 기타지방은 0.10% 상승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상승한 지역이 16곳으로 전국적으로 상승 흐름이 강하게 나타났다. 개별 지역으로는 △세종(0.25%) △서울(0.21%) △경북(0.17%) △제주(0.14%) △대전(0.12%) △인천(0.12%) △대구(0.12%) △전북(0.10%)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부산은 유일하게 0.03% 하락했다.

지난 3월 월간 기준 전국 변동률은 0.33%를 기록했다. 전국 대부분 지역이 하락 전환되거나 내림세가 지속됐으나 서울은 전월(0.76%) 대비 0.42%p 올라 상승폭이 컸다. 울산도 2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4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3% 상승했다. 수도권(0.00%)보다는 지방의 전셋값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서울이 0.04% 하락한반 면 경기·인천 지역은 0.03% 상승했다. 5대광역시는 0.11% 뛰었고, 기타지방은 0.10% 상향 조정됐다.

전국 17개 시도 중 전세가격이 상승한 곳은 15곳이다. 전세가 오름폭이 큰 지역은 △전남(0.33%) △울산(0.33%) △전북(0.19%) △부산(0.18%) △강원(0.16%) △세종(0.13%) △충북(0.12%) △대구(0.10%) 순이다. 대전은 0.11%, 서울은 0.04% 하락했다. 3월 월간 전국 전세가 변동률은 0.09%를 기록해 20개월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인용되면서 정부의 주요 부동산 정책 추진 과제였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폐지, 임대차2법 재검토, 다주택자 중과세 완화 등이 사실상 추진 동력을 잃게 될 것으로 보인다.

주택 공급 불안 이슈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임기 5년간 목표로 했던 주택 270만호 공급 계획과 재건축·재개발 사업 촉진에 관한 특례법(재건축 촉진법) 등 공급 확대, 정비사업 규제완화 등은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백새롬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5월 말, 6월 초로 예상되는 조기 대선을 앞두고 여야 대선후보들의 부동산 관련 공약과 정책 방향성 등의 윤곽이 나오기 전까지 내 집 마련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 제한된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며 "당분간 주요 정당들의 대선공약 내용들을 분석하며 숨 고르기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