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3일 대중 관세 34% 확정
중국도 美 제품에 34% 관세 부과
양국 정면충돌, 격랑 속으로
미국과 중국이 관세 및 무역전쟁으로 정면충돌하고 있다.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경우 만평에서처럼 미국도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환추스바오(環球時報).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제 경제에 밝은 베이징 소식통들의 6일 전언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행정부는 전날(현지 시간)부터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어 9일부터는 나라별 상호관세를 부과할 예정으로 있다. 가장 높은 관세 폭탄을 안긴 국가는 예상대로 중국이다. 34%의 관세를 부과받았다. 결과적으로 총 54%의 관세 폭탄을 안게 됐다.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고 다짐했던 중국이 주춤할 까닭이 없다. 즉각 대응에 나서 4일 미국산 제품에 34% 관세 부과를 결정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희토류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도 내렸다. 미국 군수 기업 16곳에 대한 이중용도, 즉 군수용으로도 민간용으로도 쓸 수 있는 물품의 수출 금지 등 역시 단행했다. 이제 정면충돌은 진짜 불가피하게 됐다.
국제 유가 역시 직격탄을 맞았다고 할 수 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종가가 배럴당 61.99 달러로 전장 대비 7.4%나 급락했다.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시기인 지난 2021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관세 및 무역전쟁의 발발로 안전 자산 수요가 커졌음에도 국제 금값 역시 급락하고 있다.
당하는 입장인 중국은 더욱 심각하다. 경제성장률이 반토막 날 것이라는 전망에서부터 GDP(국내총생산) 10% 축소설까지 비관적 관측이 나오는 것이 현실이다. 중국이 향후 내수를 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다하려는 노력을 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노력마저 잊힐 만하면 나타나는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하 물가 하락) 조짐으로 빛을 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경제 당국의 한숨이 더욱 깊어지게 됐다고 해야 할 것 같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