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 2월 작업자 6명이 숨진 부산 리조트 화재 사고의 원인은 용접 불티 때문이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당시 현장에선 안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경찰과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 등을 적용해 시공사 대표 등 6명을 구속했습니다.
고휘훈 기자입니다.
[기자]
개장을 불과 3개월 앞둔 부산 반얀트리 복합리조트 공사 현장에서 불이 난 건 지난 2월 14일 오전 11시가 조금 안 된 시각이었습니다.
당시 800여 명의 작업자들이 일을 하고 있었고, 미처 현장을 빠져나오지 못한 6명이 숨지고 말았습니다.
화재가 발생한 지 약 두 달만에 수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불은 피티룸이라고 불리는 1층 배관 창고에서 절단, 용접 작업 중에 발생한 불티가 구멍을 통해 아래층으로 떨어져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동훈 부산경찰청 형사기동대장> "작업자는 화재감시자가 없는 상태에서 위 천공 등을 방화포 등으로 덮거나 막아두지 않고 그대로 화기 작업을 진행했고 그때 발생한 불티가 위 천공들을 통해서 지하 1층 수처리실 상단부에 설치된 배관 보온재에 떨어진 것으로… "
화기작업을 하고 있었지만 당시 현장엔 화재 감시자는 없었습니다.
화재감지기 등 소방시설 설치가 미흡했을 뿐만 아니라 그마저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희주 부산고용노동청 광역중대재해 수사과장> "사업장 전반의 안전보건조치 및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점검하고 관리해야 할 경영책임자 등은 그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습니다."
경찰과 노동청은 중대재해처벌법과 업무상과실치사상 혐의로 시공사 대표 2명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등의 혐의로 현장소장과 하청업체 대표 등 4명을 구속했습니다.
<고휘훈 기자> "리조트가 사용승인을 받았음에도 화재 사고 당일까지 대규모 공사가 벌어진 점을 감안해 인허가 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는지도 수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
(영상취재기자: 강준혁)
#반얀트리 #부산리조트화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고휘훈(take5@yna.co.kr)
지난 2월 작업자 6명이 숨진 부산 리조트 화재 사고의 원인은 용접 불티 때문이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당시 현장에선 안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경찰과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 등을 적용해 시공사 대표 등 6명을 구속했습니다.
고휘훈 기자입니다.
[기자]
당시 800여 명의 작업자들이 일을 하고 있었고, 미처 현장을 빠져나오지 못한 6명이 숨지고 말았습니다.
화재가 발생한 지 약 두 달만에 수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불은 피티룸이라고 불리는 1층 배관 창고에서 절단, 용접 작업 중에 발생한 불티가 구멍을 통해 아래층으로 떨어져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화기작업을 하고 있었지만 당시 현장엔 화재 감시자는 없었습니다.
화재감지기 등 소방시설 설치가 미흡했을 뿐만 아니라 그마저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박희주 부산고용노동청 광역중대재해 수사과장> "사업장 전반의 안전보건조치 및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점검하고 관리해야 할 경영책임자 등은 그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습니다."
<고휘훈 기자> "리조트가 사용승인을 받았음에도 화재 사고 당일까지 대규모 공사가 벌어진 점을 감안해 인허가 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는지도 수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
(영상취재기자: 강준혁)
#반얀트리 #부산리조트화재
고휘훈(take5@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