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리스크 분산 나선 日도요타 전기차 생산거점 확 늘린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2027년까지 전기차(EV) 생산 거점을 기존 일본과 중국 2곳에서 미국·태국·아르헨티나 5곳으로 늘려 관세나 환율 변동 위험에 대응할 방침이다. 또 주문부터 납품까지 걸리는 시간도 단축해 시장 대응력을 강화한다.

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도요타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등 세계 경제가 블록화로 향하는 상황에서 공급망 다변화에 본격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판매된 도요타 자동차의 약 20%인 53만대는 일본에서 수출한 물량이다.

이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부과는 비용 증가와 판매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도요타가 오랜 기간 유지해온 '일본 내 연간 300만대 생산체제'도 기로에 섰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같은 상황에서 생산 거점을 확대하는 건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리스크를 분산시키기 위한 차원으로 분석된다.

닛케이에 따르면 도요타는 태국에서 올해 10월부터 EV 픽업트럭을, 미국에서는 내년부터 켄터키·인디애나주에서 3열 좌석 다목적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생산할 예정이다.

중국 시장에서는 저가 EV에 주력한다. 지난달 출시된 SUV 'bZ3X' 가격은 약 11만위안(약 2200만원)으로 기존 EV보다 약 30% 저렴하다.

도요타는 주요 부품을 중국 현지 업체에서 조달해 비용을 절감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하이럭스 EV를 생산할 예정이다.

일본에서는 군마현 공장에서 내년 2월부터 스바루와 공동개발한 모델을 생산해 일본·북미·유럽 등에 공급하고 아이치현 공장에서는 2027년부터 '렉서스'의 차세대 모델을 제조할 예정이다.

도요타는 미국 시장에서 렉서스·하이브리드차(HV) 비중이 높고 신차 판매 시 딜러에게 지급하는 인센티브가 업계 평균의 절반 이하로 낮은 편이다. 이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원가를 절감해 당분간 관세 부담을 흡수한다는 계획이다.

[신윤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