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이어 2위
코스닥은 107% 급등
개인 투자자 25조원 사들여
외국인·기관 쏟아낸 물량 받아내
신규 유입 절반이 2030
비대면 기업 순매수 상위 올라
기술주 거품 논란은 가라앉지 않아
그래픽_김정숙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19 이후 코스피 상승률이 주요 20개국(G20) 지수 가운데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증시의 주도권이 외국인에서 개인투자자로 넘어갔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국내 증시의 강세는 투자의 핵심주체로 떠오른 개인투자자의 공격적 매수에 전적으로 의존했다. 개인은 연중 저점인 3월19일 이후 이달 11일까지 코스피 시장에서 25조7591억원을 순매수해 외국인(-14조9247억원)과 기관(-11조9152억원)의 팔자 물량을 너끈히 받아냈다. 특히 코스피가 급락하는 날엔 어김없이 대량 매수에 나서 지수를 떠받쳤다. 금융투자협회 자료를 보면, 지난 10일 기준 고객 예탁금은 57조4천억원으로, 올해 코스닥을 포함한 국내 증시에서 개인이 순매수한 금액(55조6733억원)을 넘어선다. 3100조원에 달하는 풍부한 시중 유동성이 꾸준히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오는 것으로 풀이된다.
금투협에 따르면 3월 증시 급락 이후 유입된 개인투자자의 절반 이상이 20·30세대다. 이들에게 친숙한 정보기술기업 등 성장주의 주가 상승률은 평균 100%를 넘어 코스피 상승률을 크게 웃돈다. 지난 3월19일 이후 개인들의 상위 순매수 종목에는 네이버·카카오, 엘지(LG)화학·삼성에스디아이(SDI) 등이 올라 있다.
이에 증권사들도 개인들이 많이 사는 종목에 대한 분석에 집중하고 있다. 삼성증권은 “시장 변동성에 흔들리지 말고 네이버·카카오 등 비대면주와 뉴딜 관련 친환경 기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국투자증권도 “개인이 관심을 갖는 종목이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기술주에 대한 거품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 ‘가장 위에 있는, 가장 큰 버블’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애플과 테슬라의 주가 흐름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개인들의 유동성은 당분간 한국증시의 버팀목이 되겠지만, 세계 증시가 하락세로 돌아선다면 그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짚었다.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채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