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주간 엔비디아 4600억원 순매수 결제…관련 ETF도 순매수
투자자예탁금 54.1조원 한주간 2.9조 늘어
MMF 195.6조로 9.6조 감소
게티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 등장으로 인공지능(AI) 투자의 효율성 문게가 부각되면서 AI 대장주인 엔비디아의 주가가 출렁거렸지만, 국내 투자자의 관련 주식과 상장지수펀드(ETF) 매수세는 지속됐다.
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24∼30일 국내 투자자는 엔비디아를 3억1712만1619달러(약 4614억원) 순매수 결제했다. 순매수 순위 2위다. 엔비디아 수익률을 2배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인 ‘그래니트셰어즈 2배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도 2억3734만6697달러(3451억원) 순매수했다.
또한 ‘일드맥스 엔비디아 옵션 인컴 스트래티지 ETF’와 ‘디렉시온 데일리 엔비디아 불 1.5배 셰어즈 ETF’는 각각 2559만1025달러(372억원), 667만924달러(97억원) 순매수 결제했다.
이처럼 국내 투자자의 엔비디아 매수세가 지속하고 있지만 최근 주가 흐름은 좋지 않다.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 27일(현지시간) 16.97% 폭락했다가 이튿날에는 8.93% 반등했다.
증권가에서는 딥시크의 등장이 일단 엔비디아에는 좋지 않은 환경이라고 분석하면서도 빅테크 기업의 설비투자(CAPEX) 지속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비용 부담이 크고 공급이 적은 초고성능 GPU(그래픽 처리 장치)보다 비용이 한 단계 낮은 고성능 GPU의 수요 증가세가 강할 전망인데, 독점 중인 초고성능 GPU 시장보다 경쟁 중인 고성능 GPU 시장 확장세가 커지는 건 엔비디아에 부담”이라고 진단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도 “딥시크 충격은 CSPs(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의 투자 우선 순위를 하드웨어에서 ‘알고리즘과 강화 학습 개발’로 바꾸는 계기가 될 수 있고, 무료로 풀린 딥시크-R1은 오픈AI 생태계 전반에 대한 수익성 우려를 야기할 수 있다”면서 “(엔비디아) 주가의 단기 반등이 있을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보수적 접근이 바람직해 보인다”고 말했다.
서영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번 (딥시크) 발표가 개선된 모델을 만들기 위해 더 많은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바꾸는 것은 아니고, 엔비디아 12개월 선행 P/E(주가수익비율)가 29배 수준으로 과거 5년 밴드 하단 수준에 위치해 있어 밸류에이션 매력에 반등 가능한 구간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향후 추세 상승을 위해서는 기업들이 AI 모델을 발전시킬 효율적인 방법이 나왔음에도 더 강력한 AI 모델을 만들기 위해 CAPEX를 유지한다는 부분이 확인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머니마켓펀드(MMF)는 195조5641억원으로 한 주 전 대비 9조5979억원 감소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