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3 (화)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한 가족] 아빠의 손길, 엄마의 포옹은 자녀 뇌·혈관 돌보는 ‘보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피부와 뇌는 신경 통해 상호작용

‘행복 호르몬’ 나와 혈압·혈당 안정

면역력 높이고, 우울증 위험 낮춰

가족 스킨십 건강학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이라 했다. 가정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풀린다는 뜻이다. 때론 열 마디 말보다 한 번의 포옹이 가족 간 소통과 공감을 이끄는 ‘열쇠’가 된다. 이뿐만이 아니다. 가족 간의 자연스러운 스킨십은 건강을 위한 ‘명약’이기도 하다. 머리를 쓰다듬고 손을 잡아주는 과정에서 뇌가 발달하고 혈관이 튼튼해지며 면역력이 향상된다. 심리적 안정감을 선물해 정신건강에도 이롭다. 가족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스킨십의 건강 효과를 짚어봤다.

중앙일보

이미종씨(오른쪽)와 아들 이규완씨는 평소 어깨동무나 포옹을 자주 한다. 가족 간 신체 접촉은 정신건 강은 물론 뇌 발달,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된다. 김동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개포동에 사는 이미종(48)씨와 이규완(20)씨는 친구 같은 부자(父子)다. 아들 규완씨는 “또래 친구들과 달리 아버지와 단둘이 있어도 어색하거나 불편하지 않다”고 말한다. 군 입대, 이성 문제 등도 아버지와 상담한다. 흔한 사춘기 반항이 없었고 공부도 곧잘 해 원하는 과에 진학했다. 한편 아버지 미종씨는 동년배 가장이 흔히 느끼는 소외감·외로움을 느낀 적 없다고 한다. 고혈압이 있지만 주말마다 전국 명산을 찾아 오를 정도로 건강하다. 이씨는 “대화를 많이 하지는 않지만 어릴 때부터 손을 잡거나 어깨를 두드려주는 등 스킨십을 자주 했다”며 “가족 관계가 돈독해 집에 가면 마음이 편하고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말했다.

부모 건강에도 긍정적 영향

스킨십은 인간이 태어나 처음으로 배우는 언어 행위다. 접촉을 통한 감정적 교류는 몸과 마음에 영향을 미친다. 순천향대서울병원 소아정신과 이연정 교수는 “미숙아라도 엄마가 아이를 품에 안고 쓰다듬는 ‘캥거루 케어’만으로 체중이 하루 평균 40%나 증가한다”며 “가족 간 자연스러운 스킨십은 자녀뿐 아니라 부모의 신체·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가족 간 스킨십은 우선 뇌 발달에 도움이 된다. 피부와 뇌는 태아 시기 외배엽에서 각 기관으로 분화한다. 나무줄기에서 여러 가지가 뻗는 것과 비슷하다. 줄기와 가지가 물과 영양소를 주고받듯, 피부와 뇌도 신경을 통해 긴밀하게 상호 작용한다. 뇌가 피부 자극의 영향을 받는 것은 어린아이에게만 그치지 않는다. 성인도 마찬가지다.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 김붕년 교수는 “특히 뇌가 형성되는 만 5~6세 이전의 신체 접촉은 뇌를 제대로 조직·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며 “청소년·성인도 신체 접촉으로 뇌를 자극하면 뇌 속 연결망이 확충돼 뇌가 발달한다”고 말했다.

둘째, 스킨십은 혈관 건강을 지키고 면역력을 높인다. 친밀한 사람과의 접촉은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도파민·옥시토신의 분비를 늘리고, 반대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낮춘다. 그 결과 혈압·혈당이 안정되고 혈관이 받는 부담이 준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은 가족·연인 100쌍을 대상으로 절반은 손을 잡거나 포옹 등 스킨십을 하게 하고, 나머지는 접촉을 제한한 뒤 서로 스트레스를 받았던 상황을 이야기하게 했다. 이후 혈압·심박수를 측정한 결과, 스킨십을 한 쪽은 각 수치의 개선 폭이 그렇지 않은 쪽의 두 배에 달했다(미국 심신의학회, 2003).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안철우 교수는 “세로토닌은 혈소판 작용을 억제해 혈전(피떡) 위험을 낮추고 혈액순환을 돕는 등 혈관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들 호르몬은 혈액순환과 함께 NK세포 등 면역 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가족 스킨십은 우울증·불안감 등 정신질환 위험을 낮춘다. 이런 효과는 특히 남성에게 더 크다. 김붕년 교수는 “남성은 여성보다 감각 자극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한데 사회적으로 이를 억압받다 보니 고독감·외로움 등을 느끼기 쉽다”며 “가족 사이에서 스킨십을 배우고 실천하며 ‘접촉 결핍’을 채우면 정신건강에 이롭다”고 말했다.

사춘기 자녀에겐 허락받아야

단 가족이라고 해도 스킨십을 무작정 시도해서는 안 된다. 친밀감이 없는 일방적인 스킨십은 오히려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신뢰 관계를 깨뜨릴 수 있다. 안철우 교수는 “호르몬 분비도 감정의 영향을 받는다”며 “같은 자극을 받아도 대상과 태도에 따라 정반대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가족 스킨십에서 결과만큼 중요한 것이 과정이라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우선 자극이 적은 스킨십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 포옹에 앞서 ‘하이파이브’를 하거나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면 스킨십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공놀이·보드게임 등을 활용해 스킨십을 일종의 ‘놀이’처럼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것도 방법이다. 자녀가 성(性)에 눈뜨는 사춘기라면 부모가 사전에 스킨십을 허락받는 게 좋다. 순천향대서울병원 이연정 교수는 “가족 간 스킨십에서 중요한 것은 양보다 질”이라며 “서로에게 관심과 애정을 쏟고, 필요할 때 부족한 면을 채워주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가족 스킨십의 건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