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3 (화)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한 가족] 헬리코박터 감염진단, 조직검사 오류 가능성 배제 말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고] 건국대병원 소화기내과 이선영 교수
중앙일보

한국의 위암 발생률이 높은 것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률이 높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부동의 위암 1위’라는 오명에서 벗어나려면 헬리코박터 감염에 대한 올바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이번 ‘헬리코박터’ 저널에 게재된 논문은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는 헬리코박터 검사에 대한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석을 담은 것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인 872명의 헬리코박터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성인의 18.1%에서 조직검사와 혈청검사 결과가 불일치한다는 사실을 보고했다. 특히 145명은 조직검사에서 헬리코박터균이 진단되지 않았으나 혈액검사에서는 균이 있다고 나왔다. 채취한 위 점막 조직에 선종이나 암 등의 종양 세포가 섞여 있을 때 불일치율은 11배 상승했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에 균일하게 퍼져 있지 않아 우연히 균이 없는 곳을 조직검사하면 위음성(본래 양성인데 음성으로 잘못 나온 것)으로 나올 수 있다. 앞서 혈청검사에서 감염이 있다고 나온 위암 환자의 75%가 추적 위내시경 조직검사에서 처음과 달리 균이 있다고 확진됐다. 이는 조직검사의 위치와 무관했다. 따라서 위종양이 있는 경우 헬리코박터균 감염을 제대로 진단하려면 조직검사 결과에 의존하지 않고 혈액검사나 대변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 논문의 또 다른 중요성은 검사 간의 불일치율을 위염이 심한 정도에 따라 분석했다는 것이다. 위염이 심해 위산을 분비할 능력이 없는 경우에도 불일치율은 상승한다. 위산분비능이 심하게 손상된 위염 환자(혈청 펩시노겐Ⅱ 7.45ng/ml 미만)에서 불일치율이 높았다. 통상적인 혈청 펩시노겐(PG) 기준(PG I<70ng/ml이고 PGⅠ/Ⅱ<3.0)으론 그 차이를 알 수 없다. ‘PG Ⅱ<7.45ng/ml’라는 새로운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사실도 이 논문을 통해 처음 밝혀졌다.

실제로 위축성 위염이나 장상피화생(위 점막이 장 점막처럼 변한 것)이 심한 위염 환자에서는 헬리코박터균이 더 이상 생존하지 못하고 자가 소멸하는 경우가 있다. 균이 사라져도 수개월~수년이 지나서야 혈액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 이들 환자에게서는 추적 혈액검사로 항체 수치가 점차 감소하는지 확인하면 된다. 6~12개월 후에도 항체 수치가 점차 증가한다면 실제로 감염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므로 위내시경으로 추적 조직검사를 해야 한다.

올해부터는 우리나라에서도 궤양이나 암이 없는 감염자에게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할 수 있다. 헬리코박터를 제대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조직검사에서 위종양 세포가 있으면 위음성률이 높다는 것을 상기해 혈액검사나 대변 검사로 재차 확인해야 한다. 감염자를 놓치지 않으려면 침습적 검사의 위음성 가능성을 늘 염두에 둬야 한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