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무조정실은 ‘4·16 세월호 참사 피해자 지원 및 희생자 추모위원회’ 의결을 거쳐 ‘4·16 생명안전공원’(가칭)을 건립한다고 6일 밝혔다.
추모 시설은 화랑유원지 남쪽 2만 3000㎡ 규모에 추모공원, 추모기념관, 추모비 등으로 추진된다.
또한 시민 친화적 휴식공간과 생명과 안전 존중을 일깨우는 문화공원의 콘셉트로 조성된다.
정부는 “위원회 의결을 통해 국가 재정지원 대상 재단으로 ‘4·16재단’을 선정했다”고 말했다.
사업 수행에서 부터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향후 추모시설 위탁운영 등도 맡는다.
4.16 재단측은 “재단 설립은 세월호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민간사업을 정부가 지원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밝혔다.
화랑유원지 일대가 세계적인 ‘복합문화플랫폼’으로 탈바꿈된다는 계획도 동시에 나왔다.
2022년까지 2000여 억원을 투입해 새로운 개념의 복합문화시설로써 “화랑유원지 명품화 사업을 추진한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초지역세권(아트시티) 개발 등에 맞춰 화랑유원지를 ‘화랑유원지 명품화 리모델링계획’도 수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랑유원지에만 △국립도서관(700억원) △육아종합지원센터(88억원) △4·16 생명안전공원(470억원) △다목적체육관 및 테니스장(84억원) △청소년수련관(144억원) △안산(산업)역사박물관(250억원) 등이 신규 건립 중이거나 추진될 예정이다.
이번 계획은 전체 사업비만 국비 및 시비 포함 2000여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특정 유원지 1곳에 막대한 예산을 집중 투입하기로 한 것은 도시균형 발전 의지가 담겼다는 견해로 볼수 있다는 평가다.
특히 “관광객이 찾는 명소를 조성,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전략이다.
화랑유원지 추모공원 시설을 반대해온 자유한국당 등 야당과 일부 단체는 대응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화랑시민행동과 화랑유원지 지킴이 등은 즉각 반발하면서 “청와대 앞 집회 등 강력 투쟁하겠다”고 6일 밝혔다.
김대현 화랑유원지 지킴이는 지난 4일 안산시청 앞에서 집회를 갖고 “추모시설 공사에 대비해 인간벨트를 구성하고 비상 연락망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