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미·중 무역분쟁·성장세 둔화, 韓경제 최대 위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96명 설문…1년내 리스크 발생 가능성 ‘29%→4%’

국내외 금융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최대 리스크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과 한국경제 성장세 둔화를 지목했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시스템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한은은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14일까지 79개 국내외 금융기관의 임직원, 금융전문가 등 총 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미·중 무역분쟁을 최대 리스크로 꼽은 비율이 67%로 가장 높았고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를 지목한 전문가도 66%에 달했다. 이외에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44%), 부동산시장 불확실성(44%), 가계부채 누증(43%) 등이 뒤를 이었다.

조선비즈

조선DB




지난해 11월 실시했던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주요 리스크 요인에서 제외됐고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이 새로운 요인으로 추가됐다. 또 응답비중이 50%가 넘는 리스크요인의 수가 4개에서 2개로 줄어 특정 리스크 요인에 우려가 집중되는 정도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순위 리스크만 취합할 경우에는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22%), 미·중 무역분쟁(21%) 등이 가장 높아 단순 집계했을 때와 결과는 비슷했다. 이외에는 글로벌 경기둔화(11%), 가계부채 누증(9%), 중국 금융·경제 불안(6%)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가계부채 누증과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을 한 항목으로 보고 응답비중을 살펴보면 단순 응답비율 기준으로는 70%, 1순위 응답비율로는 14%를 기록했다.

1년 이내(단기)에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협하는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비율은 4%로 낮아졌다. 지난 설문조사 당시에는 29%로 상당히 높은 비율을 나타낸 바 있다. 단기에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고 본 전문가는 52%로 이전(27%)보다 두 배 가량 늘었다. 또 1~3년(중기)내 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본 전문가도 같은 기간 40%에서 34%로 낮아져 전반적으로 금융리스크 발생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분쟁과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를 단기에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로 봤다.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중기에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로 평가했다. 발생가능성을 중심을 보면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높게 나타났고,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업실적 부진, 미·중 무역분쟁,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 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조은임 기자(goodnim@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