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오늘의 미디어 시장

‘CES의 꽃’ 8K TV... 삼성, AI와 노베젤로 승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삼성전자 2020년형 8K TV 신제품 'Q950TS' 제품 사진. 삼성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소비자가전 전시회 ‘CES 2020’에서 2020년형 8K TV 신제품을 공개한다. 8K TV는 CES의 ‘꽃’으로 각인된 가전 영역에서 올해 최대 화두 중 하나다. LG전자와 함께 치열한 시장 선점 경쟁 중인 삼성전자는 이번 신제품으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제품엔 화질 및 음향 품질을 끌어올리는 인공지능(AI) 기술과 베젤(화면을 둘러싼 테두리)을 최소화한 디자인이 탑재됐다.

삼성전자는 CES 2020을 무대로 자사 8K TV 제품군 ‘QLED 8K’의 신제품(제품명 Q950TS·사진)을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8K TV는 울트라HD(UHD) 화질의 4K TV보다 4배 선명한 화질을 자랑하는 차세대 초프리미엄 TV다. 아직까지 8K 화질 전용 콘텐츠가 부족하기 때문에 8K TV 제조사들의 기술 경쟁은 저화질도 8K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AI 기술력 차이에서 초반 승부도 결정될 전망이다.

삼성전자의 2020년형 QLED 8K엔 ‘AI 퀀텀 프로세서’가 내장됐다.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해 화질까지 향상시키는 ‘업스케일링’ 학습능력을 최대화시킨 프로세서다. 어떤 원본 영상이 입력되더라도 스스로 최적의 알고리즘을 생성, 윤곽과 질감도 섬세하게 표현해낼 수 있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새 QLED 8K에는 TV 주위 환경을 인식해 자동으로 화면 밝기를 조정해 주는 ‘어댑티브 픽쳐’, 영상 스트리밍 중 원본 데이터 손실을 줄여 주는 ‘AI 스케일넷’도 포함됐다.

AI 기반 음향 기능 또한 대거 추가됐다. 영상 속 움직이는 사물을 인식해 소리가 TV에 탑재된 스피커들을 따라 움직이는 기술, 주위 소음을 인식해 영상 속 화자의 목소리 볼륨을 조정해 주는 기능 등이 더해졌다.

외형적 디자인의 경우엔 베젤이 거의 없는 ‘노베젤’을 지향하고 있다. QLED 8K에서 화면의 차지 비율은 99%에 달한다. 베젤 비중이 1%에 불과하단 뜻이다. 제품 전체 두께는 15㎜다.

추종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2020년형 QLED 8K에는 소비자들에게 더 진화한 스크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삼성전자의 혁신 의지가 곳곳에 배어 있다”며 “업계 리더로서 소비자들에게 진정한 8K 경험을 전달해 시장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맹하경 기자 hkm07@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