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하나금융연구소 "쌀값 3배 오를때 강남아파트 84배 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40년간 서울 강남 아파트 매매가가 84배 오르는 동안 쌀과 닭고기 등 식재료 가격은 3배 상승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연구소는 2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내 주요 재화 및 서비스의 가격 추세 분석:1980~2020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 40년간 국민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1980년 1714달러에서 2019년 3만1754달러로 18.5배 증가했다.

보고서는 국민 1인당 GDP상승률과 주요 물품에 대항 명목가격변동률을 비교해 소비자가 체감하는 가격 상승률을 파악했다. 예컨대 커피 한잔이 200원에서 4100원으로 20.5배 올랐더라도 1인당 GDP 상승폭(18.5배)과 비교하면 상승률은 1.11배다. 상승폭이 크더라도 1인당 GDP 상승폭과 비교해 체감 상승률이 낮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생산성 증대와 교역 확대로 공산품과 식재료 가격상승률은 1인당 GDP 상승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쌀값(4㎏ 환산 기준)은 3000원에서 9500원으로 3.2배, 닭고기는(1㎏ 환산 기준) 1400원에서 4656원으로 3.3배 올랐다. 대부분의 식재료 가격이 40년간 약 9배 미만 상승에 그쳤다. 1인당 GDP 상승률을고려할 때 실제 체감 가격은 하락했다는 설명이다.

반면 서울 강남 아파트 값은 1인당 GDP 상승률 대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대치동 은마아파트의 경우 3.3㎡기준 매매가가 1980년 약 77만원에서 6469만원으로 40년간 84배 가량 상승했고, 전세가는 16만원에서 1629만원으로 101배나 올랐다.

국산 중형 자동차 가격의 경우 1980년 389만원에서 현재 2390만원으로 6.1배 상승, 콜라가 4.5배(1.5ℓ 기준), 소주가 5.1배(출고가 기준), 영화 관람료가 6.7배 상승해 1인당 GDP 상승률에 비해 낮은 상승률을 보여 실제 체감 가격이 하락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술 진보와 대체재가 늘어나며 컬러 TV(20인치 기준)와 국제전화(한국-미국 1분 기준)도 명목가격 자체가 각각 45%, 77% 하락했다.

서울시 지하철 기본요금은 80원에서 1250원으로 40년간 15.6배 상승했고, 택시 기본요금은 400원에서 3800원으로 9.5배 올랐다. 또 병원 진료비(초진)가 9.9배, 문화재 입장료가 10배 상승하고 국립대 등록금은 19배나 상승하는 등 정부 및 공공기관이 공급하거나 가격을 통제하는 영역의 서비스 항목들이 민간 영역의 소비재보다 비교적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

기호품 관련 항목의 명목가격도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커피 한잔의 경우 200원에서 4100원으로 약 21배, 담배 한 갑은 300원에서 4500원으로 15배 올랐다.

1990년 690원이던 시간당 최저임금은 2020년 현재 8590원으로 명목상 12.4배 상승해 지난 30년간 국민 1인당 GDP 상승률(원화 기준 7.9배, 달러 기준 4.8배) 보다 많이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공무원 월급(7급 초봉 기준) 은 같은 기간 23만9000원에서 현재 188만원으로 7.9배 상승했고, 사병 월급(육군 병장 기준)은 1980년 3900원에서 현재 54만1000원으로 무려 139배 올랐다.

데이트 비용(영화 관람과 식사 및 커피 기준)의 경우 1990년에는 1만8800원, 현재는 약 6만1200원이 필요해 8.6배 가량 늘었다. 반면 이 데이트 비용을 벌기 위해 필요한 아르바이트 근로 시간(최저시급 기준)은 1990년 28시간에서 현재 8시간으로 감소했다.

정훈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지난 40년간 주요 소비재의 실질적인 가격이 대부분 하락했다는 것을 계량적으로 확인했다"며 "다만 수치상 평균 값을 기준으로 한 분석이기 때문에 최근 심화된 소득 양극화를 고려할 때 저소득층의 체감 물가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