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G20 "에너지 시장 안정 위해 정책대응 공조" 공동성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에너지장관 회의…"유가불안 탓 경제회복 차질" 공감대

정책조율·집단행동 위한 협의체 구축…감산합의는 언급 없어

연합뉴스

"원론적 입장만 되풀이"
주요 20개국 에너지장관 화상회의[AF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주요 20개국(G20) 에너지 장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세계 경기침체 우려를 공감하며 에너지 시장을 안정시켜 경제회복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결의했다.

캐나다 자원부가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개한 내용 등에 따르면 G20 에너지 장관들은 10일(현지시간) 의장국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재로 화상회의를 연 뒤 공동성명을 통해 "세계 경제의 회복을 뒷받침하고 우리의 에너지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정책대응 공조를 발전시키는 데 함께 노력하기로 약속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각국의 환경을 고려해 이뤄지는 이 같은 조치를 통해 전체 에너지원에 걸쳐 시장 안정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G20 에너지 장관들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때문에 에너지 시장이 흔들리면 세계 경제의 회복이 지연된다고 뜻을 모았다.

이들은 "팬데믹에 따른 심각한 경제수축과 불확실한 전망 때문에 에너지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악화했다"며 "이로 인해 석유와 가스 부문이 충격을 받고 그 여파가 다른 산업에까지 미쳐 세계 경제 회복이 추가로 차질을 빚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시장의 불안정성 때문에 고용, 기업, 사람들이 큰 비용을 치르게 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연합뉴스


G20 에너지 장관들은 에너지 시장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대책을 즉각적으로 취할 것이라며 에너지 체계의 회복력을 키우기 위해 국제공조가 절실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이들은 "에너지 시장을 확실히 안정시키고 저렴하고 안전한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은 이번 위기의 대응과 극복 단계를 통틀어 전체 국가에 걸쳐 보건, 복지, 회복력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G20 에너지 장관들은 향후에 닥칠 비상사태에 대응하는 데 있어 적응력과 저항력이 더 강한 에너지 체계를 구성하려면 에너지 부문 전체 구성원의 공조가 필요하다며 협의체 구성 계획도 밝혔다.

이들은 "단기적으로 '포커스 그룹'을 설립한다"며 "대응책 조율과 집단적 조치를 발전시키며 필요에 따라 정책을 권고하는 임무를 맡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포커스 그룹은 전체 G20 회원국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사우디가 G20 의장국을 맡는 동안 정기적으로 실태 평가를 보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공동성명에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러시아를 비롯한 다른 산유국들이 진행하고 있는 감산합의 협상 대한 언급은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

이들 산유국의 증산 방침과 시장 점유율 경쟁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활동 마비로 인한 석유수요 급감과 더불어 현재 국제유가를 바닥을 향해 짓누르고 있는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연합뉴스

주요 20개국 에너지 장관들은 국제유가의 변동성이 커지면 글로벌 경제가 코로나19의 충격에서 벗어나는 데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했다.[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jangj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