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OPEC+, 5∼6월 하루 970만 배럴 감산…"유가 지속 상승 미지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OPEC+(OPEC과 10개 주요 산유국의 연대체)가 현지시간 12일 긴급 화상회의를 열어 5월 1일부터 6월 말까지 두 달 간 하루 970만 배럴의 원유(가스콘덴세이트 제외)를 감산하기로 합의했다고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밝혔습니다.

OPEC은 회의 뒤 낸 보도자료에서 이런 합의 내용을 공개하면서 "모든 주요 산유국이 원유 시장 안정을 위한 노력에 상응하도록 시의적절하게 이바지해야 한다"라며 OPEC+ 이외 산유국(미국, 캐나다 등)의 동참을 촉구했습니다.

OPEC+는 지난 9일 화상회의에서 하루 1천만 배럴을 감산하기로 의견을 모았지만, 멕시코의 반대로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멕시코는 자국에 할당된 감산량인 하루 40만 배럴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10만 배럴만 감산하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이 요구를 반대하던 사우디아라비아가 12일 회의에서 결국 수용하면서 합의가 이뤄졌습니다.

합의된 감산량은 그간 OPEC+가 결정한 감산·증산량 가운데 가장 큰 규모입니다.

9일 발표된 잠정 합의안에 따르면 감산 기준은 2018년 10월이며, 하루 250만 배럴씩을 감산해야 하는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는 산유량을 각각 하루 850만 배럴로 줄여야 합니다.

사우디,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가 4월부터 산유량을 올린 터라 합의된 감산량인 하루 970만 배럴을 4월 기준으로 계산하면 하루 1천200만∼1천300만 배럴 정도를 감산하는 효과입니다.

이란 석유장관은 이들 3개 산유국이 OPEC+의 감산량 이외에 하루 200만 배럴을 자발적으로 감산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OPEC+ 소식통들을 인용해 "미국, 캐나다, 브라질, 인도네시아, 노르웨이 등 OPEC+에 참여하지 않은 산유국이 하루 400만∼500만 배럴 감산하고,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두 달 간 하루 300만 배럴 규모의 전략 비축유 구매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OPEC+에 참여하지 않은 산유국들이 감산에 동참하고 각국의 전략 비축유 구매를 고려하면 실질적 감산량은 하루 2천만 배럴이 될 수 있다고 OPEC+ 소식통들이 전망했다"라고 보도했습니다.

6월 이후 감산 계획과 관련, OPEC은 올해 7∼12월까지 하루 770만 배럴, 내년 1월∼2022년 4월까지는 하루 580만 배럴을 감산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9일 합의보다 각각 30만 배럴, 20만 배럴 감소한 양입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합의 직후 자신의 트위터에 "OPEC+가 크게 합의했다. 이 합의가 미국의 에너지 분야 일자리 수십만개를 구할 것이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살만 사우디 국왕에게 감사하고 축하한다. 그들에게 방금 그렇게 말했다. 모두에게 대단한 합의다"라고 적었습니다.

크렘린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살만 빈 압둘아지즈 사우디 국왕이 전화 통화로 OPEC+의 감산 결정을 지지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지난달 6일 OPEC+ 회의에서 감산 합의가 결렬된 뒤 사우디의 증산 선언으로 촉발한 '유가 전쟁'도 일단락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이 합의로 2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진 유가가 코로나19 위기 속에 지속적인 상승세로 반전할 수 있는 동력을 충분히 얻었는지는 미지수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위기로 감소할 원유 수요량이 하루 3천만 배럴로 전망되는 만큼 OPEC+의 감산량은 국제 원유 시장의 공급 과잉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여서입니다.

9일 일일 1천만 배럴 감산 소식이 전해지자 국제 유가는 10% 가까이 급락했습니다.

미국 투자은행 레이먼드 제임스의 에너지 전문가 무함마드 굴람은 AP통신에 "이번 감산 규모가 전례 없이 크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가 원유 수요에 미치는 영향 역시 전대미문이다"라고 평가했습니다.

또 OPEC+의 합의 타결을 촉진하려고 미국이 9일 멕시코에 할당된 감산량 중 하루 25만 배럴을 떠안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부가 산유량을 강제할 수 없는 미국 석유 산업의 특성상 미국이 '대리 감산'을 실행할 수 있는 지도 불투명합니다.

나이지리아 석유부는 "미국의 개입으로 멕시코의 요구가 수용됐고 미국 석유회사들이 하루 30만 배럴을 추가로 감산하도록 하면 단기간에 유가가 배럴당 15달러는 오를 것이다"라고 기대했습니다.

OPEC+의 감산 합의 소식에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와 브렌트유 가격은 13일 오전 모두 배럴당 1달러 이상 올랐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유영규 기자(ykyou@sbs.co.kr)

▶ [모여봐요, 비례의 숲] 내게 딱 맞는 국회의원 후보 찾으러 가기 ☞
▶ '선거방송의 명가' SBS 국민의 선택
▶ 코로나19 속보 한눈에 보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