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G7 정상회담

"트럼프의 G7 초청 응할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文대통령 44일만에 통화

문재인 대통령은 1일 한·미 정상 통화에서 트럼프 미 대통령으로부터 오는 9월 주요 7국(G7) 정상회의 초청을 받은 것에 대해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두 정상 간 통화는 지난 4월 18일 이후 44일 만에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15분간 이뤄졌다. 문 대통령 취임 후 25번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G7이 낡은 체제로서 현재 국제 정세를 반영하지 못한다"며 "이를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 생각은 어떠시냐"고 물었다. G7 정상회의 확대 개편을 언급하며 문 대통령 초청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것이다.

이에 문 대통령은 "올해 G7 정상회의 주최국으로서 한국을 초청해 주신 것을 환영하고 감사드린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이며,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한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올해 G7의 확대 형태로 대면 확대정상회의가 개최되면 포스트 코로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세계가 정상적인 상황과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했다. 또 "G7 체제는 전 세계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G7에 한국과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한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0일 G7 정상회의를 9월로 연기하겠다면서 한국·호주·인도·러시아를 초청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여기에 브라질까지 포함시켜 G12로 확대하는 문제도 이날 문 대통령과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브라질 포함 여부에 대해 "인구, 경제 규모, 지역 대표성 등을 감안할 때 포함시키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좋은 생각"이라며 "그런 방향으로 노력을 해보겠다"고 말했다.

홍콩 국가보안법 등을 놓고 미·중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미국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중국 관련 사안을 안건으로 올리겠다는 방침이다. 한국을 비롯해 인도와 호주 등 인도·태평양 지역 핵심 동맹국들에 '반중(反中) 전선 동참'을 요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문 대통령이 일단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에 응하겠다고 밝혔지만 미·중 사이에 낀 우리 정부의 고민은 깊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비상경제회의에서도 "더 심해지고 있는 자국 중심주의와 강대국 간 갈등도 우리 경제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되고 있다"고 했다. 우리 정부는 올 하반기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의 방한(訪韓)도 추진 중이다.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을 풀고 남북 대화에서 중국의 협조를 얻어내길 기대하고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미국의 첫 민간 유인우주선 '크루 드래건'호의 발사 성공에 대해 "인류에게 큰 꿈을 심어준 매우 멋진 일이었다"며 "미국이 민간 우주탐사 시대라는 또 다른 역사를 열었다"고 했다.





[안준용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