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과 이스타 항공 여객기 모습. 사진=각 항공사 제공 |
[전경우 기자]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 제시한 딜 클로징 타임이 임박하며 항공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제주항공은 앞서 지난 1일 이스타항공에 10영업일 이내에 선결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공문을 보낸 바 있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 측의 답변을 마감시한인 15일 밤까지 기다겠다는 분위기다. 일부 언론에서 제주항공이 15일 내부 회의를 열고 이스타항공 인수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라 보도했지만, 15일 늦은 오후까지 인수 여부를 결정하는 회의는 열리지 않았다.
이스타항공이 선뜻 답을 내놓지 못하는 것은 목줄을 죄는 문제가 한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먼저, 1700억 원대에 달하는 미지급금이 문제다. 이스타항공은 공항공사에 공항시설 이용료를 감면 요청하고, 정유사와 리스사에 유류비와 리스료 등 미지급금을 놓고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렸다.
‘타이이스타젯 지급 보증’ 문제도 넘어야 할 산이다. 계약 변경에 합의한 문건을 국토부가 인정했다는 이스타항공 측의 주장은 거짓이었다.
260억원 규모의 임금체불도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부분이다. 제주항공과 각을 세우던 이스타항공 노동조합은 지난 10일 직원들에게 2개월 치 임금 반납에 동의하는지를 묻는 투표를 진행한 데 이어 근로자대표단의 임금 반납 동의서를 고용노동부에 제출했다. 이 동의서의 법적인 구속력은 없다.
업계에서는 제주항공이 정부의 추가 금융·정책 지원을 기대하는 것으로 보고 있지만, 국토부 등 관계부처는 확실한 추가 지원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정부 측은 인수의 성사가 확실하게 결정된 이후 추가 지원을 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제주항공은 불확실한 추가 지원을 믿고 계약을 완결지을 상황이 아니다. 코로나 19 확산 이후 제주항공도 심각한 어려움에 빠졌기 때문이다. 무리하게 이스타항공 인수를 추진했다 양사의 동반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지난 3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채형석 애경그룹 부회장,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만난 자리에서 뚜렷한 인수 의지를 보일 경우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해 정부 차원의 지원이 최대한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나오지 않았다.
제주항공은 최근 고용노동부와의 면담에서도 이스타항공 인수에 부정적인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 인수 계약을 파기할 경우 이스타항공은 파산 수순을 밟게 되고 1600명의 실직자가 발생하기 때문에 고용노동부도 이 문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항공업계에서는 결국 이상직 의원이 책임지고 나서야 한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kwju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