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0 (금)

[유레카] 코로나 ‘초과 사망’ / 이종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14일 ‘세계 결핵 보고서 2021’을 통해 지난해 결핵 사망자 수가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밝혔다. 전세계 결핵 사망자 수는 10여년간 계속 줄어왔는데, 지난해엔 2019년보다 10만명 많은 150만명이 결핵으로 숨졌다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세계 각국이 인력과 재정을 코로나19 대응에 쏟아붓다 보니, 인류의 오랜 질병인 결핵의 진단과 치료, 예방을 위한 보건의료 서비스가 취약해졌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가 공중보건에 악영향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는 꾸준히 제기돼왔다. 지난해 10월 마틴 컬도프 하버드대 의대 교수 등 3명의 저명한 의학자가 발표한 ‘그레이트배링턴 선언’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봉쇄’(록다운) 정책이 공중보건에 “파괴적인” 영향을 끼쳐, 향후 수년간 사망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파괴적인 영향’의 예로는, 아동 예방접종률 감소, 심혈관 질환 악화, 암 검진 감소, 정신건강 악화 등을 들었다. 필수 의료 서비스에 공백이 생겨 ‘초과 사망’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다. 비록 이들이 ‘자연 감염’을 통한 집단면역을 ‘봉쇄’의 대안으로 제시해 논란을 야기했지만, 공중보건에 대한 문제의식만은 틀렸다고 보기 어렵다. 지난해 결핵 사망자의 증가도 이들이 우려한 ‘파괴적인 영향’의 한 단면이라 할 수 있다.

‘초과 사망’은 일정 기간에 통상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준을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는 것을 뜻한다. 감염병 유행 등이 사망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코로나19 유행의 경우, 감염은 물론 의료 공백, 격리, 생활고 등이 ‘초과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지난 5월 <영국의학저널>(BMJ)에는 세계 29개 고소득 국가에서 지난해 1년 동안 98만명의 ‘초과 사망’이 발생했다는 연구 결과가 실리기도 했다.

<한겨레>는 이달 20일치 1면에 의료 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공공병원들이 코로나19 치료를 도맡다시피 하면서, 외래환자 진료가 크게 줄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이런 상황이 이어지면 ‘초과 사망’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위드 코로나’ 시대, 공공의료가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의료체계의 정상화를 서둘러야 한다.

이종규 논설위원 jklee@hani.co.kr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