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철 디자이너 /사진=임종철 디자이너 |
중금리대출 시장의 메인 플레이어였던 저축은행의 입지가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가계대출 총량규제 여파와 함께 인터넷전문은행(이하 인터넷은행), P2P(온라인투자연계금융) 등 타업권과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터넷은행 후발주자 토스뱅크가 올해 중·저신용자 대출 취급을 42%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내년에는 44%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토스뱅크 뿐만 아니리 카카오뱅크도 올해 말 25%, 2023년 말 30%까지 중·저신용자 대출 규모를 늘린다. 케이뱅크는 25%, 32%의 목표치를 제시했다.
중금리대출은 개인신용평점 하위 50%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대출을 말한다. 업권별로 △은행 6.5% △상호금융 8.5% △카드 11% △캐피탈 14% △저축은행 16% 등의 금리상한이 있다. 기존에는 이렇다 할 인센티브나 취급 확대 유인이 적어 저축은행의 고유 영역이란 인식이 강했다. 하지만 상황이 바뀌었다. 시중은행은 물론 P2P 등 타업권도 중금리대출 시장 문을 노크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은행들의 중금리대출 확대가 공격적이다. 예컨대 지난해 12월 기준 카카오뱅크의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평균 연 9.88%로 나타났다. 작년 말까지 신용대출을 취급하지 않았던 토스뱅크와 KDB산업은행을 제외한 17개 은행 평균 금리 연 5.17%였다.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는 카카오뱅크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중금리 대출 비중 확대에 열을 올렸기 때문이다. 실제 카카오뱅크는 작년 하반기 들어 중·저신용자들에겐 신용대출 이자를 한 달 간 면제해주는 등 우대했다. 반대로 고신용자 대출 금리를 올리거나 한도를 낮춰 오히려 불이익을 줬다.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시행을 계기로 제도권에 안착한 P2P 업계도 저축은행들에겐 강력한 중금리대출 경쟁자다. P2P사들은 은행에서 대출을 거절당했지만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기는 부담스러운 이들을 주타깃으로 중금리대출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갈수록 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있는 저축은행 중·저신용 대출 수요를 흡수해 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저축은행들은 최근 강화된 가계대출 총량 규제 '풍선효과'로 넘어오는 고신용자 위주 영업을 펼쳤다. 실제로 지난해 저축은행들은 신용도에 따라 가산금리를 높이는 식으로 영업을 했고 결과적으로 중·저신용자가 심사에서 배제되는 상황이 다수 발생했다.
올해 역시 저축은행에서 중·저신용자 대출을 받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중금리대출을 포함해 21.1%였던 지난해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상한선이 올해는 회사별로 10~15% 수준에서 정해졌기 때문이다. 중·저신용자들 대상 대출 공급이 더 줄어들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들은 중금리대출의 일부나 전체를 총량규제에서 제외하는 '인센티브'를 올해도 적용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총량규제와 중금리대출 연계 저축은행 대상 인센티브는 2018년과 2019년에만 적용됐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중금리대출에 대한 인센티브가 없다면 리스크관리 차원에서라도 고신용자 위주로 영업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