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차기 대선 경쟁

이재명, 윤석열 위로 전화에 “성공한 대통령 되기 바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오른쪽)가 10일 오후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열린 선대위 해단식에서 “이재명이 부족한 0.7%를 못 채워서 진 것”이라며 “모든 책임은 이 부족한 후보에게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가 송영길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가운데는 이낙연 총괄선대위원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대 대선에서 석패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캠프 해단식을 열고 “이재명이 부족해서 패배한 것이지 우리 선대위·당원·지지자분들은 지지 않았다. 모든 책임은 부족한 0.7%포인트를 못 채워서 진 이재명 책임”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에 대해 장기간 칩거·성찰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 6월 지방선거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 등 민주당 내 반응은 엇갈린다.

조기 역할론의 배경은 “졌지만 잘 싸웠다”는 평가다. 정권교체론이 50%를 상회하는 상황에서 역대 모든 민주당 후보 중 최다 득표(1614만표)를 얻었기 때문이다. 19대 대선 문재인 대통령의 득표(1342만표)보다 270만표 많았다. 여야를 통틀어 역대 모든 낙선자 중에서도 최다 득표 기록이다. 패배했음에도 차기를 도모할 정치적 공간은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서울의 친문 중진 의원은 “패배 책임을 이 후보가 떠안을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후보 주변에선 “이재명의 재발견”이란 표현이 나왔다. 낙선 전이지만 이 후보 스스로도 지난 4일 유세에서 “저는 정치를 끝내기에는 아직 젊다”고 말했다.

더욱이 당내 구심점도 마땅찮은 상황이다. 안병진 경희대 미래문명원 교수는 “현재 민주당의 새로운 리더십이 눈에 띄지 않는다”며 “당분간은 이 후보의 영향력이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지방선거에 직접 출마하거나 당권에 도전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견해가 많다. 이 후보의 한 측근은 “대선 만 하루도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벌써 그런 논의를 하기엔 이르다”고 선을 그었다.

반면 장기적으로 봤을 때 미래가 꼭 밝지만은 않다는 전망도 있다. 우선 당내 비주류 출신인 그의 입지가 계속 굳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민주당은 대선을 위해 여러 계파·주류·비주류가 ‘프로젝트성 원팀’을 이룬 상태였다. 선거가 끝났으니 6월 지방선거 공천 과정 등에서 갈등이 터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안병진 교수도 “민주당이 다시 친문 대 이재명계 구도로 회귀한다면 각종 다툼에서 이재명계가 확실히 살아남는다는 보장이 없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도 “이재명계가 주류가 됐다”(서울 중진)는 반응과 “계파 싸움은 늘상 있는 일”(서울 초선)이란 반응이 공존했다.

선거를 치르면서 노출된 대장동 및 배우자 과잉의전 의혹 등이 말끔히 정리되지 않은 것도 걸림돌이다. 배우자 김혜경씨는 법인카드 유용 의혹 등으로 지난달 9일 사과한 이후 공식 선거운동 기간 한 번도 공개 행보를 못 했다. 약점이었던 이 후보 본인의 도덕성 논란에 가족 리스크가 더해졌다. 최창렬 용인대 교양학부 교수는 “사법 리스크에 갇혀있는 것 자체만으로도 운신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며 “특히 대장동 의혹이 계속될 경우 일부 반대 세력들이 ‘대장동 문제는 털고 가자’며 이 후보를 공격할 소재로 삼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 후보는 이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위로 전화를 받고 통화했다. 전주혜 국민의힘 의원은 10일 오후 윤 당선인의 박병석 국회의장 예방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이 후보가 (윤 당선인에게) ‘성공한 대통령이 되기를 바란다’고 얘기했다”고 전했다. 이어 윤 당선인이 이 후보에게 “위로의 말을 전했을 것”이라고 했다.

김준영 기자 kim.junyoung@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